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한 초등학교.

80년의 역사도 지방소멸의 파도를 막긴 역부족이었습니다.

서울 등 수도권이 교육 서비스와 문화 시설, 직장 등을 빨아들이면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마을을 떠났기 때문입니다.

이미 폐교는 쓰나미처럼 우리 사회를 덮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 외 지역이 심각합니다.

올해 3월 기준 전국 누적 폐교 수는 전라도와 경상도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강원도와 충청도가 그 뒤를 잇습니다.

모두 일자리나 거주 환경, 문화 시설, 교육 여건 등이 서울 등 수도권에 미치지 못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폐교를 막기 위해서는 결국 아이가 있는 젊은 부모들이 살만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최소한 교육 때문에 지역을 떠나는 일은 없도록

한발 더 나아가 교육 때문에라도 오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게 일차적인 목표입니다.

앞으로 폐교들을 어떻게 활용할지가 중요합니다.

지역민과 학생들에게 좋은 기억을 남길 수 있는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길 바라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지연(ji0117@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