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 1>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4일부터 각국에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상호관세 10%, 최저치를 적용받는 건 약 100개 나라가 될 것이라며, 시한까지 무역합의를 못한 나라에는 기존에 발표된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 밝혔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시 관세 정책의 고삐를 당기는 배경이 뭘까요?

<질문 2> 이르면 이번 주말 미국을 찾아 협상에 나설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는데요. 이렇게 미국이 압박하는 상황에서 어떤 협상 전략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질문 3> 어제(3일) 코스피가 3,110선을 돌파하며 종가 기준 연고점을 다시 한번 새로 썼습니다. 이 대통령이 코스피 5000 시대를 재차 강조하고, 소액주주 권익 보호를 골자로 한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는 등 여러 호재가 맞물린 결과로 보여요?

<질문 4> 오늘(4일) 코스피는 전장보다 0.19% 오른 3,122.28에 거래를 시작했지만, 장중 하락 전환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로 하락세로 돌아섰는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관련 발언과 전날 급등에 따른 부담감이 맞물려 투자자들의 관망 심리가 발동한 걸까요?

<질문 5> 3일(현지 시각) 6월 미국 고용지표가 기대 이상으로 나타나며 뉴욕증시가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S&P 500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또다시 최고치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미국 금융시장이 4일(현지 시각) '독립기념일'로 하루 쉬어가는 가운데, 강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을까요?

<질문 6> 지난 5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101억 4천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13조 8,300억 원 흑자로 집계됐습니다. 5월 기준으로는 역대 세 번째로 큰 흑자를 기록했고, 25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간 건데요. 흑자의 주요 배경이 뭔가요?

<질문 7> 하지만 철강,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수출이 넉 달 만에 감소하는 등 점차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흑자라고 하지만 웃을 수만은 없어 보여요?

<질문 8> 주제를 바꿔볼게요. 이 대통령이 어제(3일) 기자회견에서 6·27 대출 규제 정책을 두고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경제의 부동산 쏠림 현상을 타개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란 평가가 나오는데, 어떻게 보세요? 정부의 다음 부동산 대책은 무엇일까요?

<질문 9> 거의 두 달 만에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수그러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달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정부의 초강수 대출 규제가 시행된 가운데, 추가적인 부동산 규제가 시행될 것이란 점이 영향을 준 걸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