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김대호 경제학 박사>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1> 트럼프 대통령이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이라 일컫기도 한 이른바 ’메가 법안‘ 이 단 1표 차로 미국 의회 하원을 통과했습니다. 2017년 트럼프 1기 때부터 시행해 온 개인소득세와 법인세 등의 세율 인하 조치를 연장하는 내용이 핵심이죠?
<질문2> 미 의회예산국은 감세 법안이 상원에서 최종 확정될 경우, 미 재정적자가 향후 10년간 3조 8천억 달러, 우리 돈 5,257조 원 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미 미국의 재정적자 규모는 36조 달러, 우리 돈 5경 원에 달할 정도로 천문학적인 상황이라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는데요?
<질문3> 법안 따르면 전기차를 살 때 주는 최대 7천5백 달러 세액공제 폐지 시한이 기존보다 6년 이른 2026년 말로 종료 시점이 앞당겨졌습니다. 또, 한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도 주던 리스와 렌터카 등 상업용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한국 완성차 기업엔 악재로 작용할 것 같은데요?
<질문4> 미국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국채 시장에서 매도 물량이 쏟아졌습니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한때 4.6%대까지 치솟기도 했는데요. 법안 통과 이후 미국 장기 국채 금리의 오름세가 일단 멈췄습니다. 시장이 일단 법안을 둘러싼 의회의 불확실성은 줄었다고 판단한 것이라 풀이할 수 있을까요?
<질문5> 이런 가운데, 미국과 일본의 장기물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30년물 국채 금리는 '심리적 저항선'인 5%를 넘어섰고,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습니다. 영국, 독일 등의 장기물 국채 금리도 상승세인데요. 이처럼 미국 외 주요국 국채 금리가 장기물을 중심으로 급등하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6> 우리나라는 아직 국고채 금리 변동폭이 크지 않습니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 등이 국내 시장에 끼칠 영향은 어떻게 예상하세요?
<질문7>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위메이드가 공정거래위원회에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 소속의 국내 5개 가상화폐 거래소를 신고했습니다. 위메이드는 거래소들의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결정이 ’담합‘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는데요. 위메이드가 보는 담합 정황은 뭔가요?
<질문8>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장 중 한때 1개당 거의 12만 달러, 약 1억 6천만 원에 거래되는 등 사상 최고가를 갈아 치웠습니다. 비트코인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9> 11만 달러대로 올라선 비트코인, 12만 달러도 넘어설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경제읽기' 시간입니다.
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살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1> 트럼프 대통령이 '크고 아름다운 하나의 법안‘이라 일컫기도 한 이른바 ’메가 법안‘ 이 단 1표 차로 미국 의회 하원을 통과했습니다. 2017년 트럼프 1기 때부터 시행해 온 개인소득세와 법인세 등의 세율 인하 조치를 연장하는 내용이 핵심이죠?
<질문2> 미 의회예산국은 감세 법안이 상원에서 최종 확정될 경우, 미 재정적자가 향후 10년간 3조 8천억 달러, 우리 돈 5,257조 원 가량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미 미국의 재정적자 규모는 36조 달러, 우리 돈 5경 원에 달할 정도로 천문학적인 상황이라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커졌는데요?
<질문3> 법안 따르면 전기차를 살 때 주는 최대 7천5백 달러 세액공제 폐지 시한이 기존보다 6년 이른 2026년 말로 종료 시점이 앞당겨졌습니다. 또, 한국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도 주던 리스와 렌터카 등 상업용 전기차에 대한 세액공제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한국 완성차 기업엔 악재로 작용할 것 같은데요?
<질문4> 미국 재정 악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국채 시장에서 매도 물량이 쏟아졌습니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가 한때 4.6%대까지 치솟기도 했는데요. 법안 통과 이후 미국 장기 국채 금리의 오름세가 일단 멈췄습니다. 시장이 일단 법안을 둘러싼 의회의 불확실성은 줄었다고 판단한 것이라 풀이할 수 있을까요?
<질문5> 이런 가운데, 미국과 일본의 장기물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30년물 국채 금리는 '심리적 저항선'인 5%를 넘어섰고, 일본 30년물 국채 금리는 사상 최고치를 새로 썼습니다. 영국, 독일 등의 장기물 국채 금리도 상승세인데요. 이처럼 미국 외 주요국 국채 금리가 장기물을 중심으로 급등하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6> 우리나라는 아직 국고채 금리 변동폭이 크지 않습니다. 미국, 일본 등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 등이 국내 시장에 끼칠 영향은 어떻게 예상하세요?
<질문7> 주제를 바꿔보겠습니다. 위메이드가 공정거래위원회에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 소속의 국내 5개 가상화폐 거래소를 신고했습니다. 위메이드는 거래소들의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결정이 ’담합‘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는데요. 위메이드가 보는 담합 정황은 뭔가요?
<질문8> 가상화폐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장 중 한때 1개당 거의 12만 달러, 약 1억 6천만 원에 거래되는 등 사상 최고가를 갈아 치웠습니다. 비트코인이 강세를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질문9> 11만 달러대로 올라선 비트코인, 12만 달러도 넘어설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영수(kys6252@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