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연결 :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이렇게 지금 보신 것처럼 한국과 미국이 관세 안보 합의 결과를 문서화한 조인트 팩트시트를 조금 전에 확정해서 발표를 했습니다.

지난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내용이 대부분 담겼는데요.

관련 내용 계속해서 전문가 전화 연결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 연결돼 있습니다.

실장님, 들리십니까?

<질문 1> 앞서 관련된 내용 실장님께서도 보셨을 텐데 먼저 이 합동 설명 자료죠. 조인트 팩트시티라는 게 뭔지 짚어주시고 어떻게 합의했는지 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도 좀 여쭤보겠습니다.

<질문 2> 지금 말씀하신 것처럼 조율해야 할 내용들이 많아서 예정됐던 시간보다는 좀 오래 걸렸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좀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3> 말씀해 주신 것처럼 지금 핵추진 잠수함 건조 관련해서 이야기를 해 주셨는데 이 건조 장소와 관련해서 대화의 모든 전제는 한국에서 건조하는 것을 전제로 했다라고 대통령실이 밝혔습니다. 결국 백악관도 어쨌든 건조를 승인을 했고 연료 조달과 건조에 협력하기로 했다라고 입장을 밝혔는데 어쨌든 건조 승인 자체라는 건 큰 성과로 이해도 되지 않겠습니까?

<질문 4> 이 향후 협의와 관련해서 또 주목해야 될 부분이 우라늄 농축이랑 핵 재처리와 관련해서 일단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의 지지를 확보했다라고 밝혔는데 어쨌든 지금 봐서는 후속 협의가 불가피한 상황이고 보시기에 이게 현실적으로 가능성은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까?-이제 농축 같은 경우에 우리가 지난번 2015년도에 개정된 걸 보면 20% 이하는 농축하도록 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20% 이하를 농축할 때도 미국의 뭐라고 할까요?

<질문 5> 이제부터 진짜 시작이다라고 봐도 될 것 같은데 지금 어쨌든 이 팩트시트가 공개가 되면서 핵잠수함 관련 내용이 포함이 된 상황에서 이에 대해서 이제 주변국인 중국의 반응도 좀 주목이 되고 있습니다. 중국 측에서 지금 어떤 생각하고 있을까요?

<질문 6> 그리고 이 내용도 좀 여쭤보겠습니다. 주한미군의 지속적인 주둔이라든가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확인했다라는 부분도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언급을 했는데요. 관련해서는 어떻게 의미를 저희가 좀 보면 되겠습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호(klaudh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