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세대에 이어 고려대에서도 학생들의 집단 부정행위가 적발돼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오픈 채팅방을 이용해 문제를 공유하는 커닝이 이뤄진 건데요.

온라인 강의가 늘고 또 AI가 학습도구로 자리잡으면서 부정행위가 심각한 캠퍼스 문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차승은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달 25일, 고려대학교에선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라는 교양 과목의 중간고사가 비대면으로 치러졌습니다.

이 수업은 1,400여 명이 수강하는 대형 강의로, 수업과 시험 모두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별도의 부정행위 방지 장치 없이 진행됐습니다.

문제는 일부 학생들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시험 문제 화면과 정답을 공유하면서 발생했습니다.

해당 채팅방은 수강생 500명가량이 참여한 정보 공유방으로, 채팅방에 있던 학생들이 교수진에 제보하면서 부정행위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담당 교수는 공지를 통해 "큰 충격을 받았다"며 "도저히 부정행위를 묵과할 수 없어 해당 시험을 전면 무효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학교 측도 부정행위 학생들에 대한 징계 절차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고려대학교 관계자> "사실 관계를 확인하고 이후 엄정한 처리를 위해서 절차를 논의 중인 단계라고 봐주시면 될 것 같아요."

앞서 연세대에서도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이용한 집단 부정행위 정황이 적발돼 파장이 일었습니다.

시험 시간 동안 손과 얼굴이 나오는 영상을 찍어 제출하라는 응시 규정에도 불구하고 화면이 자주 전환되거나 시선이 사각지대에 머무는 등 부정행위 징후가 포착된 겁니다.

수강생 600명 가운데 현재까지 자수한 학생은 40명인데, 자체 설문 결과 200명 이상이 부정행위를 했다고 응답한 만큼 부정행위자는 훨씬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담당 과목 교수는 자수하지 않으면 유기정학까지 내리겠다고 경고한 가운데 학교 측도 대응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연세대 측은 또 비대면 수업이 늘고 AI가 학습 도구로 자리잡은 교육 환경에 맞춰 AI 윤리를 논의하는 긴급공청회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영상편집 윤해남]

[그래픽 강영진]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차승은(chaletun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