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담은 팩트시트 발표가 결국 다음주로 넘어가게 됐습니다.

팩트시트에는 원자력 추진 잠수함 관련 내용이 포함되는데요.

새로 추가된 사안인 만큼, 미국에서도 내부 조율에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오랜 숙원인 원잠 도입이 어떤 식으로 최종 협의될지 관심이 집중됩니다.

장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현재 한미 양국이 막판 조율 중인 '조인트(공동) 팩트시트'는 관세와 안보 분야를 포괄합니다.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이슈를 모두 다룬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으로 급진전을 이룬 한국의 재래식 무장 원자력 추진 잠수함도 포함될 것이 유력합니다.

원자력 에너지를 동력으로 하는 만큼 디젤 잠수함보다 오랜 기간 잠항할 수 있어 유용하지만, 소형 원자로와 농축 우라늄 연료 확보에는 미국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 잠수함 선체와 원자로는 국내에서 만들고 핵연료는 미국에서 제공받겠다는 게 우리 정부의 구상입니다.

미국 버지니아급 대형 원잠은 핵무장을 위한 공격형이라 실정에 맞지 않을뿐더러,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권한 확대 측면에서도 국제사회 우려를 불식하고 평화적 이용에 방점을 두겠다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필리조선소를 원잠 건조 장소로 특정했지만, 앞서 정상 간 대화에서는 '한국에서 짓는 것'으로 논의가 이뤄져 왔다고 대통령실은 설명했습니다.

각론에서는 차이가 남아 있지만, 이처럼 중요한 안보 이슈 논의가 급물살을 탄 건 자국 우선주의를 앞세우며 동맹의 군사 역량을 키우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 무관치 않다고 분석합니다.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 발표될 팩트시트에 원잠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담기느냐는, 이재명 정부의 '자주국방' 기조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재명/대통령(국군의 날 기념사)> "세계 각지에서 협력과 공동번영의 동력은 약해지고, 갈등과 대립이 격화되는 각자도생의 시대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는 누구에게도 의존할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의 힘을 더욱 키워야 합니다"

첫 단추는 잘 뀄지만, 미국 내 유관 부처들이 깐깐한 잣대를 들이댈 수 있어 최종안이 나올 때까지 치열한 협상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영상편집 김동현]

[자료제공 KTV]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보경(jangb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