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백승주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오늘 오후 울산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구조물이 무너져 9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현재 인력과 각종 장비를 동원해 구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관련 소식, 백승주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대형 구조물이 무너졌습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 높이가 60m 라고 하는데 이렇게 큰 구조물이 어쩌다 붕괴가 된 겁니까?
<질문 1-1> 목격자들에 따르면 "'쾅' 소리가 들려서 돌아보니까 타워가 무너지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큰 구조물이 붕괴됐다면 사전에 이상 징후를 보이지는 않았을까요?
<질문 2>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보일러를 철거하기 위해 기둥을 약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 철거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질문 3> 매몰된 근로자 9명 중 2명이 구조됐고요. 2명을 추가로 발견해 현재 구조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보신 것처럼 대형 구조물에다가 철재로 돼 있어 구조 작업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이렇게 철재 구조물이 붕괴됐을 때 구조작업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집니까?
<질문 4>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텐데요. 빨리 구조가 이루어져야 생존할 확률도 높아질 텐데, 보통 생존자 골든타임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 4-1> 시간이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는데요. 밤이 되면 구조작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질문 5> 소방당국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습니다. 인력 130여명, 장비 50여대의 소방력을 동원해 구조 작업 중이라고 하는데요. 고용노동부 역시 긴급 사고수습체계를 가동해 대응에 나섭니다. 국가소방동원령은 어떨 때 발령됩니까?
<질문 6> 구조 과정에서 2차 붕괴 우려도 있다고 보세요?
<질문 6-1> 그렇다면 구조 과정에서 소방대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을 것 같은데요. 구조 작업에 있어서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7>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철저히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가동하지 않는 시설물을 해체하다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는 구조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조사할 방침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때 어떤 부분들이 확인되어야 할까요?
<질문 8> 작업 현장에서 안전을 강조하고 있지만, 크고 작은 붕괴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선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
오늘 오후 울산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대형 구조물이 무너져 9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현재 인력과 각종 장비를 동원해 구조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관련 소식, 백승주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먼저,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대형 구조물이 무너졌습니다. 무너진 보일러 타워 높이가 60m 라고 하는데 이렇게 큰 구조물이 어쩌다 붕괴가 된 겁니까?
<질문 1-1> 목격자들에 따르면 "'쾅' 소리가 들려서 돌아보니까 타워가 무너지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렇게 큰 구조물이 붕괴됐다면 사전에 이상 징후를 보이지는 않았을까요?
<질문 2>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당시 근로자들은 보일러를 철거하기 위해 기둥을 약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 철거 작업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질문 3> 매몰된 근로자 9명 중 2명이 구조됐고요. 2명을 추가로 발견해 현재 구조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보신 것처럼 대형 구조물에다가 철재로 돼 있어 구조 작업이 쉽지는 않아 보입니다. 이렇게 철재 구조물이 붕괴됐을 때 구조작업은 어떤 방식으로 이뤄집니까?
<질문 4> 구조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텐데요. 빨리 구조가 이루어져야 생존할 확률도 높아질 텐데, 보통 생존자 골든타임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질문 4-1> 시간이 갈수록 점점 어두워지는데요. 밤이 되면 구조작업에 속도를 내기가 어렵지 않을까요?
<질문 5> 소방당국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습니다. 인력 130여명, 장비 50여대의 소방력을 동원해 구조 작업 중이라고 하는데요. 고용노동부 역시 긴급 사고수습체계를 가동해 대응에 나섭니다. 국가소방동원령은 어떨 때 발령됩니까?
<질문 6> 구조 과정에서 2차 붕괴 우려도 있다고 보세요?
<질문 6-1> 그렇다면 구조 과정에서 소방대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을 것 같은데요. 구조 작업에 있어서 가장 주의해야 할 부분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7>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철저히 사고 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찰은 가동하지 않는 시설물을 해체하다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는 구조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조사할 방침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할 때 어떤 부분들이 확인되어야 할까요?
<질문 8> 작업 현장에서 안전을 강조하고 있지만, 크고 작은 붕괴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유사 사고를 막기 위해선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