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노동계가 '65세 정년 연장' 입법을 올해 안에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국회와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재계는 투자와 고용이 위축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노동계는 당정을 향해 정년 연장은 지난 대선 공약이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이미 약속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행 60세인 정년과 65세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사이의 '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연내 입법을 촉구했습니다.
<김동명 / 한국노총 위원장> "정년연장은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입니다. 초고령 사회에서 정년연장 없이는 노년층의 빈곤문제, 소득분배 악순환을 끊기 어렵고, 지금 대비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러야합니다."
정년연장이 청년 채용 감소 등을 불러 올 것이란 경영계의 주장에는 '공포 마케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양경수 / 민주노총 위원장> "정년과 연결하는 것은 자본이 신규채용 않고 해외공장이나 투자를 축소하면서 일자리를 줄이고 있는 것을 은폐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재계에서 주장하는 '퇴직 후 재고용'하는 선별적 방식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사업주가 뽑고 싶은 사람만 계약직으로 뽑아 불합리하게 임금을 삭감하는 고용 방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경직된 임금체계와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그대로 둔 채 정년만 연장할 경우 기업의 일방적 비용 증가만 부를 것이라며 국회에 신중한 검토를 촉구했습니다.
여당은 앞서 정년연장특위 회의를 열어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 확대하는 방안을 연내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
노동계가 '65세 정년 연장' 입법을 올해 안에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국회와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재계는 투자와 고용이 위축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임광빈 기자입니다.
[기자]
노동계는 당정을 향해 정년 연장은 지난 대선 공약이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로 이미 약속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현행 60세인 정년과 65세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사이의 '소득 공백'을 메우기 위해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연내 입법을 촉구했습니다.
<김동명 / 한국노총 위원장> "정년연장은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할 핵심 과제입니다. 초고령 사회에서 정년연장 없이는 노년층의 빈곤문제, 소득분배 악순환을 끊기 어렵고, 지금 대비 않으면 돌이킬 수 없는 사회적 비용을 치러야합니다."
정년연장이 청년 채용 감소 등을 불러 올 것이란 경영계의 주장에는 '공포 마케팅'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양경수 / 민주노총 위원장> "정년과 연결하는 것은 자본이 신규채용 않고 해외공장이나 투자를 축소하면서 일자리를 줄이고 있는 것을 은폐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재계에서 주장하는 '퇴직 후 재고용'하는 선별적 방식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사업주가 뽑고 싶은 사람만 계약직으로 뽑아 불합리하게 임금을 삭감하는 고용 방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재계는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경직된 임금체계와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그대로 둔 채 정년만 연장할 경우 기업의 일방적 비용 증가만 부를 것이라며 국회에 신중한 검토를 촉구했습니다.
여당은 앞서 정년연장특위 회의를 열어 법정 정년을 65세로 단계적 확대하는 방안을 연내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