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통일부 국정감사에서는 이른바 '남북 두 국가론'이 화두였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두 국가론이 정부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고 야당에선 "헌법에 어긋난다"고 공세를 폈습니다.

박수주 기자입니다.

[기자]

정동영 장관은 남북 '두 국가론'이 곧 정부 입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두 국가론 계속 이렇게 주장하실 겁니까?"

<정동영/ 통일부 장관> "이것이 정부 입장으로 확정될 거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지금 논의 중입니다."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개념을 '평화적 두 국가'로 바꿔야 한다는 게 정 장관 주장인데, "평화적인 두 국가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로 통일의 문을 여는 것"이라고도 언급했습니다.

정 장관은 북한을 법률상 국가로 승인하는 것은 아니며, 헌법이나 대통령실 입장과도 배치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이재명 대통령의 신념과 철학을 누구보다 잘 이해하는 사람이 정동영입니다."

국감장에서는 "헌법에 어긋난다"는 야당의 비판은 물론 "협의가 필요하다"는 여당 의원의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 "우리 헌법과 대법원 판례는 북한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우리 북한이탈주민법, 북한 주민을 우리 국민으로 보죠."

<윤후덕/더불어민주당 의원> "이 정도의 어마어마한 개념, 통일론 자체가 바뀌는 건데 이런 정도면 국민과 협의를 해야 해요. 정부 내에서도 협의를 좀 하십시오."

정 장관은 또 이달 말 경주 APEC 정상회의 계기로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있다면서 그 장소는 '판문점'이 현실적이라고 했습니다.

북한이 2018년 남북, 북미 대화에 나서기 전 '국가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던 사례를 들며 최근 열병식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20형 등 핵무력을 과시한 상황이 이와 유사하다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통일부는 부처 간 협의를 거쳐 남북 대화와 교류협력 조직 복원을 골자로 하는 조직개편안을 공개했습니다.

이번 개편에 따라 개성공단 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평화협력지구추진단이 복원되고 윤석열 정부 당시 축소된 조직과 정원이 회복됩니다.

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성수 최성민 김상훈]

[영상편집 김경미]

[그래픽 윤정인]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수주(sooju@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