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 해킹 사태가 일파만파입니다.

무단 소액결제 사태를 진화하기에도 급급한 가운데, 이번엔 서버가 침해된 흔적이 발견됐습니다.

이젠 개인정보 유출까지 걱정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11일 대표이사가 직접 고개를 숙인 KT.

이번주에 벌써 두 번째 브리핑을 열고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늘었다고 자진해서 밝히는 등 해킹 사태 진화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노력이 멋쩍게, 이번엔 서버가 뚫렸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KT는 18일 저녁 11시 57분에 한국인터넷진흥원에 서버 침해 정황을 신고했다고 밝혔습니다.

서버 침해 흔적 4건, 의심 정황 2건이었습니다.

KT는 외부 보안 전문 기업에 의뢰해 전사 서버를 약 4개월간 조사를 진행한 결과 침해 흔적을 발견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동통신사 서버에는 가입자 정보, 통신 기록, 인증·접속 관련 토큰 등이 들어있어, 개인정보 대량 유출, 계정 탈취와 이를 활용한 부가서비스 악용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T는 "복제폰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유출 정보를 번복하고 있던 중 서버까지 뚫린 사실이 알려지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KT는 보안 문제가 발생하면 우선 부인했다가 언론 보도 등이 나온 후에야 인정하는 태도를 보여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여기다, 서버가 침해된 것도 지난 15일에 인지해놓고 3일이 지나서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련법에 따르면 해킹 피해를 최초로 확인한 시점에서 24시간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정부는 "해킹을 숨기면 과태료를 부과하고 직접 조사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류제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기업이 고의적으로 침해 사실을 지연 신고하거나 미신고할 경우 과태료 등 처분을 강화하고 기업 신고 없이도 정황을 확보한 경우 정부가 철저히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나가면서도…"

KT는 향후 경찰 조사에 적극 협조한단 방침이지만, 떨어지는 신뢰를 회복하는 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영상편집 박은준]

[그래픽 성현아]

#해킹 #KT #서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