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KT에서 최근 발생한 불법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와는 별개로 또 다른 해킹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지난 4월 SK텔레콤 유심 해킹 침해사고 이후 4개월동안 진행된 자체 서버 전수조사에서입니다.

보도에 문형민 기자입니다.

[기자]

KT에서 서버 침해 흔적 4건과 해킹 의심 정황 2건이 확인됐습니다.

최근 발생한 소형 간이기지국 ‘무단 소액결제 사건과는 무관한 침해사고로, 지난 4월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이후 KT가 자체적으로 착수한 보안 조사에서 발견된 겁니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실관계를 신속히 파악해 국민에게 공개한다는 방침입니다.

과기정통부는 또 무단 소액결제 피해와 관련해, 피해자 단말이 불법 기지국으로 접속한 것을 확인한 최초 시기는 지난 6월 26일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감안해 6월 1일부터 이달 10일까지 관련 기록을 분석한 결과, 불법 기지국 ID는 모두 4개, 피해자는 362명, 피해금액은 2억4천만원으로 파악됐습니다.

민관합동조사단은 펨토셀이 어떻게 KT 내부망에 접속할 수 있었는지 등을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롯데카드 정보유출 사고에 대해선 금융위원회가 입을 열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조사 결과에 따라 위규사항 확인 시 일벌백계 차원에서 엄정한 제재를 취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롯데카드 정보유출 규모는 200GB, 당초 신고한 1.7GB의 100배를 훌쩍 넘습니다.

회원 수로 따지면 297만명의 개인 신용정보가 유출됐고, 이 가운데 카드번호와 비밀번호 앞 두자리, CVC까지 털려 부정사용 거래 가능성이 있는 회원 수는 28만명으로 알려졌습니다.

정부는 KT와 롯데카드 등 연달아 발생하는 침해사고와 관련해,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범부처 차원의 근본 대책 마련 방침을 밝혔습니다.

우선 현행 보안 체계 전반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기업들이 침해사고 사실을 고의적으로 지연 신고하거나 미신고할 경우 과태료 처분을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또, 해킹 정황이 확보된 경우 기업의 신고 없이도 정부가 조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다는 방침입니다.

특히, 금융회사에서 보안사고 발생 시 사회적 파장에 상응하는 징벌적 과징금 도입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

[영상취재 김동화]

[영상편집 나지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