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 7일 이재명 정부의 첫 주택 공급 대책이 나왔음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2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습니다.

특히 마포구와 성동구 등 비규제지역인 이른바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아파트값이 요동치고 있는데요.

정다미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마포구의 대형 재건축 단지.

최근 전용 50제곱미터가 12억5,900만원, 신고가에 거래됐습니다.

재건축 호재에 추가 규제 가능성이 겹치며 가격이 오른 겁니다.

<서울 마포구 공인중개사> "3개월 사이에 2억 정도 오른 것 같은데. 몇 주 전부터 규제한다니까 조금 여유 있는 사람들. (규제 있으면) 거래 신고할 때 자금 내역서, 통장 사본 등 다 제출해야 되거든. 지금은 그런 규제가 없으니까 먼저 들어온 사람도 있어."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이 2주 연속 확대됐습니다.

특히 성동구가 0.41%, 마포구가 0.28% 뛰는 등 비규제지역인 한강벨트가 들썩이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난 7일 공급 대책을 발표했지만, 시장 불안을 잠재우진 못했습니다.

<양지영 /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 "서울에서도 핵심 지역에 공급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 이 부분이 중요한데 사실상 9·7 대책에서는 시장에서 원하는 용적률 상향이라든가 이런 부분이 좀 더 구체적으로 담겨 있지 않았다는 거죠."

성동구와 마포구 등이 향후 규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다는 경계감도 매수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고종완 /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 "가을 이사철을 맞아서 마포나 성동 특정 지역의 집값이 계속 오르면 집값 상승이 예상되는 주변 지역으로 토지거래허가제나 조정대상지역 지정 등 이러한 추가 규제가 나올 가능성이 많고요."

추가 부동산 규제 가능성이 고개를 드는 가운데, 그 시기와 강도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정다미입니다.

[영상취재 최승아]

[영상편집 김경미]

[그래픽 윤정인]

[뉴스리뷰]

#공급대책 #서울 #아파트값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