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배상훈 연세대 글로벌행정학과 객원교수>
최근 서울 서대문구 초등생 유괴미수 사건으로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광명에서 이와 비슷한 사건이 또 발생했습니다.
왜 자꾸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프로파일러로 활동하고 계신 배상훈 연세대 글로벌행정학과 객원교수와 얘기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경기도 광명시에서 10대 남학생이 초등학생 여아를 유괴하려고 시도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에서도 유괴 미수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지 않았습니까? 불과 열흘 남짓 만에 비슷한 사건이 또 발생한 건데요. 어떻게 된 일인지 간단하게 정리해주신다면요?
<질문 2> 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평소 안면이 있는 사이는 아니며,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가해 학생은 미성년자지만 촉법소년은 아닌 만큼 형사 처벌이 가능한거죠?
<질문 2-1> 경찰은 이 남성이 성범죄를 저지를 목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죠?
<질문 3> 앞선 서대문구 유괴 사건 수사 과정에서는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모두 기각되면서 불안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경찰은 구속영장 재신청을 검토하는데요, 어떤 부분이 입증이 되어야 구속영장이 받아들여 질까요?
<질문 4> 실제 아동을 노린 유괴 범죄는 최근 몇 년 새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초등학생 등 미성년자 약취, 유인 범죄가 증가하는 배경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4-1>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인 만큼 미수에 그쳤더라도 처벌 형량을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현재 형법상 처벌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어 있습니까?
<질문 5> 학부모들 불안이 커지자 경찰이 종합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등하굣길 안전진단, 경력 집중배치, 아동범죄 신고 대응 강화 등이 주요 골자인데요. 어떻게 평가하세요?
<질문 5-1> 특히 아동 관련 신고는 '코드1' 이상으로 접수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코드1' 이상이면 어느정도 수준의 대응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5-2> 다만 이번 대책은 서울지역 초등학교에서만 5주 동안 시행될 예정인데요. 서울 뿐만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비슷한 유괴 미수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데, 한시적 시행이 어느정도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에요, 아동 안전망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
최근 서울 서대문구 초등생 유괴미수 사건으로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 광명에서 이와 비슷한 사건이 또 발생했습니다.
왜 자꾸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건지, 프로파일러로 활동하고 계신 배상훈 연세대 글로벌행정학과 객원교수와 얘기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경기도 광명시에서 10대 남학생이 초등학생 여아를 유괴하려고 시도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서울 서대문구에서도 유괴 미수 사건이 발생해 충격을 주지 않았습니까? 불과 열흘 남짓 만에 비슷한 사건이 또 발생한 건데요. 어떻게 된 일인지 간단하게 정리해주신다면요?
<질문 2> 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평소 안면이 있는 사이는 아니며, 우발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가해 학생은 미성년자지만 촉법소년은 아닌 만큼 형사 처벌이 가능한거죠?
<질문 2-1> 경찰은 이 남성이 성범죄를 저지를 목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구속영장을 신청할 방침이죠?
<질문 3> 앞선 서대문구 유괴 사건 수사 과정에서는 피의자들에 대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모두 기각되면서 불안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경찰은 구속영장 재신청을 검토하는데요, 어떤 부분이 입증이 되어야 구속영장이 받아들여 질까요?
<질문 4> 실제 아동을 노린 유괴 범죄는 최근 몇 년 새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초등학생 등 미성년자 약취, 유인 범죄가 증가하는 배경은 뭐라고 보세요?
<질문 4-1> 아동을 대상으로 한 범죄인 만큼 미수에 그쳤더라도 처벌 형량을 강화해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현재 형법상 처벌 기준은 어떻게 마련되어 있습니까?
<질문 5> 학부모들 불안이 커지자 경찰이 종합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등하굣길 안전진단, 경력 집중배치, 아동범죄 신고 대응 강화 등이 주요 골자인데요. 어떻게 평가하세요?
<질문 5-1> 특히 아동 관련 신고는 '코드1' 이상으로 접수할 방침이라고 합니다. '코드1' 이상이면 어느정도 수준의 대응이라고 볼 수 있습니까?
<질문 5-2> 다만 이번 대책은 서울지역 초등학교에서만 5주 동안 시행될 예정인데요. 서울 뿐만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비슷한 유괴 미수 사건이 일어나고 있는데, 한시적 시행이 어느정도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에요, 아동 안전망에 대한 제도적 보완책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보나(bonama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