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조지아주 이민당국 구금시설에 구금 중인 한국인 300여명이 조기 석방이라는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조지아주 구금시설에 가있는 특파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전해주세요.
[기자]
네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있는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의 구금시설 인근에 나와있습니다.
지난 4일 불법체류 등의 혐의로 체포된 우리 직원 300여명이 이곳에서 나흘째 밤을 맞고 있는데요.
이들 근로자들을 석방하기 위한 한미 정부 당국간 교섭이 마무리됐고 이르면 사흘 뒤 현지시간 10일쯤에는 한국행 전세기에 탈 수 있을거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우리 근로자 3백여명은 이곳에서 차로 50분 거리에 있는 플로리다 잭슨빌 공항에서 전세기를 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곳은 여전히 취재진의 접근을 제한하는 등 강압적인 분위기입니다.
제 뒤로 약 200m 가량 뒤에 있는 곳이 구금 시설입니다.
저 앞에서는 현장 라이브 방송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서 지금 방송을 하고 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철망으로 둘러싸여져 있고요.
주변에 있는 주차장 그리고 뒤에 구금 시설이 굉장히 넓게 이어져 있습니다.
저곳까지 오는데 굉장히 잭슨빌공항에서 오는데 이곳이 정말 외딴 곳이 느껴지는 게 그냥 1차 도로를 가지고 계속 직진을 하면 이곳에 오는데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야말로 이 구금 시설만 있는 외딴 곳에 그리고 이곳이 굉장히 역력하게 열악하고 그런 상황이라는 게 미국 내에서도 악명이 높기 때문에 하루빨리 이곳에서 좀 석방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현장에 와보니까 더 크게 느껴집니다.
주미대사관은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미 당국과 막바지 협의를 진행했는데요.
현장대책반은 어제에 이어 이틀째 영사 면담을 통해 구금된 근로자들의 상태를 확인했고요.
구금된 직원들이 탈 전세기 운용과 관련해 미 이민당국 측과 협의를 이어갔습니다.
현장지휘를 맡고 있는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영사 면담은 일차적으로 다 마쳤고 여성들이 있는 수감시설도 오늘 중으로 다 마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내일쯤 구금된 직원들을 상대로 전세기 탑승 의사를 확인하는 절차도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근로자들의 석방 교섭이 우려보다 빨리 마무리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인데요.
구금된 직원들이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았을지 궁금하네요.
[기자]
네 현지시간 토요일인 어제 우리 영사들이 처음으로 구금된 직원들을 면담했고요
말씀드린 것처럼 오늘도 아침 9시부터 다시 면회가 시작됐습니다.
우리 영사들과 동료들이 협상 타결 소식을 전했는데요.
갇혀있는 근로자들은 곧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기대감에 안도의 한숨을 내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올 전세기에 몸을 싣기 전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행정 절차를 최대한 서둘러 원하는 분들이 빨리 한국으로 갈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구금시설이 너무나 열악하다는 소식이 연일 들려오고 있는데요.
우리 근로자들의 건강 문제도 걱정이 됩니다.
[기자]
네 우리 영사들이나 간신히 면회를 하고 나온 동료들은 구금시설 내부 상황이 심각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곰팡이가 피고 벌레가 득실거리는 비위생적인 환경의 방에 두명씩 마구잡이로 수감자들을 집어 넣고, 식사 역시도 더없이 열악하다는 건데요.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아직까지는 이곳 시설에 수감된 이후 급작스럽게 건강히 나빠진 직원들 사례는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건강 문제가 언제 생겨도 이상할게 없는 열악한 상황이라서 행정절차가 최대한 빨리 이뤄져 이곳을 벗어난게 최선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구금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제 남은 목표는 근로자들의 신속한 귀국입니다.
이르면 내일쯤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하는 것도 국무부 등 미국 측과 조속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조율 차원으로 분석됩니다.
지금까지 조지아주 포크스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현장연결 이현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
미국 조지아주 이민당국 구금시설에 구금 중인 한국인 300여명이 조기 석방이라는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조지아주 구금시설에 가있는 특파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정호윤 특파원 전해주세요.
[기자]
네 조지아주 포크스턴에 있는 미국 이민세관단속국의 구금시설 인근에 나와있습니다.
지난 4일 불법체류 등의 혐의로 체포된 우리 직원 300여명이 이곳에서 나흘째 밤을 맞고 있는데요.
이들 근로자들을 석방하기 위한 한미 정부 당국간 교섭이 마무리됐고 이르면 사흘 뒤 현지시간 10일쯤에는 한국행 전세기에 탈 수 있을거라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우리 근로자 3백여명은 이곳에서 차로 50분 거리에 있는 플로리다 잭슨빌 공항에서 전세기를 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곳은 여전히 취재진의 접근을 제한하는 등 강압적인 분위기입니다.
제 뒤로 약 200m 가량 뒤에 있는 곳이 구금 시설입니다.
저 앞에서는 현장 라이브 방송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곳에서 가장 가까운 곳으로 이동해서 지금 방송을 하고 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철망으로 둘러싸여져 있고요.
주변에 있는 주차장 그리고 뒤에 구금 시설이 굉장히 넓게 이어져 있습니다.
저곳까지 오는데 굉장히 잭슨빌공항에서 오는데 이곳이 정말 외딴 곳이 느껴지는 게 그냥 1차 도로를 가지고 계속 직진을 하면 이곳에 오는데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상황입니다.
그야말로 이 구금 시설만 있는 외딴 곳에 그리고 이곳이 굉장히 역력하게 열악하고 그런 상황이라는 게 미국 내에서도 악명이 높기 때문에 하루빨리 이곳에서 좀 석방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 현장에 와보니까 더 크게 느껴집니다.
주미대사관은 이번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미 당국과 막바지 협의를 진행했는데요.
현장대책반은 어제에 이어 이틀째 영사 면담을 통해 구금된 근로자들의 상태를 확인했고요.
구금된 직원들이 탈 전세기 운용과 관련해 미 이민당국 측과 협의를 이어갔습니다.
현장지휘를 맡고 있는 조기중 워싱턴 총영사는 "영사 면담은 일차적으로 다 마쳤고 여성들이 있는 수감시설도 오늘 중으로 다 마칠 것"이라고 밝혔는데요.
내일쯤 구금된 직원들을 상대로 전세기 탑승 의사를 확인하는 절차도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근로자들의 석방 교섭이 우려보다 빨리 마무리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인데요.
구금된 직원들이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았을지 궁금하네요.
[기자]
네 현지시간 토요일인 어제 우리 영사들이 처음으로 구금된 직원들을 면담했고요
말씀드린 것처럼 오늘도 아침 9시부터 다시 면회가 시작됐습니다.
우리 영사들과 동료들이 협상 타결 소식을 전했는데요.
갇혀있는 근로자들은 곧 집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기대감에 안도의 한숨을 내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올 전세기에 몸을 싣기 전까지는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행정 절차를 최대한 서둘러 원하는 분들이 빨리 한국으로 갈 수 있게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구금시설이 너무나 열악하다는 소식이 연일 들려오고 있는데요.
우리 근로자들의 건강 문제도 걱정이 됩니다.
[기자]
네 우리 영사들이나 간신히 면회를 하고 나온 동료들은 구금시설 내부 상황이 심각하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곰팡이가 피고 벌레가 득실거리는 비위생적인 환경의 방에 두명씩 마구잡이로 수감자들을 집어 넣고, 식사 역시도 더없이 열악하다는 건데요.
그나마 다행스러운 것은 아직까지는 이곳 시설에 수감된 이후 급작스럽게 건강히 나빠진 직원들 사례는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
다만 건강 문제가 언제 생겨도 이상할게 없는 열악한 상황이라서 행정절차가 최대한 빨리 이뤄져 이곳을 벗어난게 최선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구금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제 남은 목표는 근로자들의 신속한 귀국입니다.
이르면 내일쯤 조현 외교부 장관이 미국을 방문하는 것도 국무부 등 미국 측과 조속한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조율 차원으로 분석됩니다.
지금까지 조지아주 포크스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현장연결 이현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