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
내일 열리는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이징역 인근에 도착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한시간 전 쯤이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탄 열차가 중국 베이징역 인근에 도착했습니다. 국정원은 오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내 리설주와 동생 김여정과 동행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면서 딸 김주애는 동행 여부를 확정적으로 단정하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2>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전용열차 집무실 칸에 최선희 외무상과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함께 탑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수행 명단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긴 한데요, 만약 동행했다면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을까요?
<질문 3>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은 집권 14년 만에 처음이고요. 이번 방중은 집권 이후 첫 다자외교 무대 입성입니다. 이번 다자외교 무대에서 어떤 행보를 보이고, 어떤 실익을 얻고자 할까요?
<질문 4> 김 위원장은 중국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관련 연구소를 방문해서 '화성-20형' 차세대 ICBM 개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지난달 31일에도 새로 조업한 중요 군수기업소를 방문해 미사일 자동화 생산공정을 점검했는데요. 연일 국방 현장을 방문한 이유, 뭐라고 보세요?
<질문 5> 김 위원장은 중국에서 상당한 예우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현지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같은 수준의 의전과 경호, 예우를 받을 것으로 파악하면서 열병식에서 시진핑, 푸틴, 김정은이 나란히 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자리 배치, 어떤 정치적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5-1> 이렇게 북중러 세 정상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북중러 3각 연대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한미일 대 북중러 라는 신냉전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6> 이제 관심은 김 위원장이 언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을 할지 여부인데요. 시진핑 주석의 경우 오늘 오전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가졌죠. 북중 정상회담은 언제쯤 열릴 것으로 보세요?
<질문 7> 북중러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국정원은 북중정상회담 개최는 물론 북러정상 간의 만남도 이뤄질 것이라면서도 북중러 정상회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는데요.
<질문 8>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방문에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반서방' 진영 결집에 합류한 인도에 대한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번 김 위원장의 방중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염두에 둔 행보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우리 정부 역시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북한의 주요 정황과 이동에 대해 면밀히 살펴 보고 대응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오늘 열병식 참석을 위해 중국으로 출국했는데요. 우 의장의 김 위원장과의 조우 가능성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신애(newbaby29@yna.co.kr)
내일 열리는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 참석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이징역 인근에 도착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봉영식 연세대 객원교수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한시간 전 쯤이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탄 열차가 중국 베이징역 인근에 도착했습니다. 국정원은 오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아내 리설주와 동생 김여정과 동행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하면서 딸 김주애는 동행 여부를 확정적으로 단정하긴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2>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을 보면, 전용열차 집무실 칸에 최선희 외무상과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함께 탑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인 수행 명단을 밝히지 않은 상황이긴 한데요, 만약 동행했다면 어떤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을까요?
<질문 3> 김 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은 집권 14년 만에 처음이고요. 이번 방중은 집권 이후 첫 다자외교 무대 입성입니다. 이번 다자외교 무대에서 어떤 행보를 보이고, 어떤 실익을 얻고자 할까요?
<질문 4> 김 위원장은 중국 베이징으로 출발하기 직전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관련 연구소를 방문해서 '화성-20형' 차세대 ICBM 개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지난달 31일에도 새로 조업한 중요 군수기업소를 방문해 미사일 자동화 생산공정을 점검했는데요. 연일 국방 현장을 방문한 이유, 뭐라고 보세요?
<질문 5> 김 위원장은 중국에서 상당한 예우를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현지에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같은 수준의 의전과 경호, 예우를 받을 것으로 파악하면서 열병식에서 시진핑, 푸틴, 김정은이 나란히 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런 자리 배치, 어떤 정치적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5-1> 이렇게 북중러 세 정상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합니다. 북중러 3각 연대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한미일 대 북중러 라는 신냉전 구도가 형성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세요?
<질문 6> 이제 관심은 김 위원장이 언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양자 회담을 할지 여부인데요. 시진핑 주석의 경우 오늘 오전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양자 회담을 가졌죠. 북중 정상회담은 언제쯤 열릴 것으로 보세요?
<질문 7> 북중러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십니까? 국정원은 북중정상회담 개최는 물론 북러정상 간의 만남도 이뤄질 것이라면서도 북중러 정상회담 가능성은 낮게 보고 있는데요.
<질문 8>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중국 방문에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반서방' 진영 결집에 합류한 인도에 대한 압박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번 김 위원장의 방중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을 염두에 둔 행보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습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우리 정부 역시 김 위원장의 방중과 관련해 북한의 주요 정황과 이동에 대해 면밀히 살펴 보고 대응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오늘 열병식 참석을 위해 중국으로 출국했는데요. 우 의장의 김 위원장과의 조우 가능성은 어떻게 전망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신애(newbaby29@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