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지난달 수출액이 584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8월 최고 실적을 냈지만, 대미 수출이 12% 감소하면서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주에는 새 정부의 '경제성장전략'도 발표됐는데요.
하반기 굵직한 경제·산업 현안들과 관련해,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님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지난달 수출입 동향 결과가 오늘 오전 발표됐죠. 일단 관세 여파 속에도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찍는 등 호조를 기록했는데요. 다만 대미 수출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반기 수출 전망,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2>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관세 적법성이 현지에서 연방 대법원 판결로 가려지게 됐는데, 우리 정부는 일단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인 것 같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나 자동차 등 주력 산업 불안감이 여전한데, 우리 기업 수출 지원을 위한 정부 방침은 어떻게 될까요?
<질문 3> 오늘 오전 예산안 브리핑도 직접 진행해주셨지만 대미 투자 지원을 위해 정부 예산 1조 9천억원이 편성됐어요. 직접 투자액과 프로젝트 간접 지원 등 세부적으로 나뉘는 부분들이 있을텐데, 어떻게 운용될지 궁금합니다.
<질문 4> RE100 산단 조성과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에도 수조원대 예산이 투입되는데, 구체적인 산단 조성 계획 여쭙니다.
<질문 5> 지난주 이재명 정부 5년간 경제정책 청사진을 담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이 발표됐습니다. AI 대전환과 관련해, 챗GPT 등 생성형 AI가 아니라 피지컬 AI 1등 국가를 내세운 점이 눈에 띕니다. 자세한 배경, 말씀 부탁드립니다.
<질문 6>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석유화학' 산업이, 또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철강' 산업이 각각 위기에 처하면서 정부가 두 산업의 거점인 충남 서산과 경북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업계 구조 재편에 정부가 좀 더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는 첨단소재·부품 육성이 주된 내용인데요. 기존에도 산업부가 관련해 여러 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이번에 차별화된 점은 어떤 걸까요?
<질문 8> 정부가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활용해 나갈 계획인지, 그리고 구체적 성과 도출을 위한 민간 규제 개선 방안이 있을지도 여쭤봅니다.
#초대석 #경제성장전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지난달 수출액이 584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역대 8월 최고 실적을 냈지만, 대미 수출이 12% 감소하면서 관세 영향이 본격화하는 모습입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주에는 새 정부의 '경제성장전략'도 발표됐는데요.
하반기 굵직한 경제·산업 현안들과 관련해,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님 모시고 자세한 말씀 나눠 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 1> 지난달 수출입 동향 결과가 오늘 오전 발표됐죠. 일단 관세 여파 속에도 반도체 수출이 역대 최대치를 찍는 등 호조를 기록했는데요. 다만 대미 수출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반기 수출 전망,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2>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관세 적법성이 현지에서 연방 대법원 판결로 가려지게 됐는데, 우리 정부는 일단 '신중하게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인 것 같습니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나 자동차 등 주력 산업 불안감이 여전한데, 우리 기업 수출 지원을 위한 정부 방침은 어떻게 될까요?
<질문 3> 오늘 오전 예산안 브리핑도 직접 진행해주셨지만 대미 투자 지원을 위해 정부 예산 1조 9천억원이 편성됐어요. 직접 투자액과 프로젝트 간접 지원 등 세부적으로 나뉘는 부분들이 있을텐데, 어떻게 운용될지 궁금합니다.
<질문 4> RE100 산단 조성과 차세대 전력망 구축 등에도 수조원대 예산이 투입되는데, 구체적인 산단 조성 계획 여쭙니다.
<질문 5> 지난주 이재명 정부 5년간 경제정책 청사진을 담은 '새정부 경제성장전략'이 발표됐습니다. AI 대전환과 관련해, 챗GPT 등 생성형 AI가 아니라 피지컬 AI 1등 국가를 내세운 점이 눈에 띕니다. 자세한 배경, 말씀 부탁드립니다.
<질문 6>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석유화학' 산업이, 또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철강' 산업이 각각 위기에 처하면서 정부가 두 산업의 거점인 충남 서산과 경북 포항을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업계 구조 재편에 정부가 좀 더 적극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7> 초혁신경제 선도프로젝트는 첨단소재·부품 육성이 주된 내용인데요. 기존에도 산업부가 관련해 여러 정책을 추진해 왔는데, 이번에 차별화된 점은 어떤 걸까요?
<질문 8> 정부가 100조원 이상의 국민성장펀드를 조성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활용해 나갈 계획인지, 그리고 구체적 성과 도출을 위한 민간 규제 개선 방안이 있을지도 여쭤봅니다.
#초대석 #경제성장전략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1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