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8·15 광복절 특사 심사 대상에 포함된 사실이 알려지자, 정치권도 술렁였습니다.

국민의힘이 공개 반대한 가운데, 민주당은 사면 찬성론과 신중론으로 갈렸는데요.

정청래 대표는 침묵을 지켰습니다.

정주희 기자입니다.

[기자]

여당에서는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광복절 특별사면을 놓고 의견이 갈렸습니다.

한준호 최고위원과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라면서도, 관례를 비춰봤을 때 취임 첫 해 정치인 사면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취지로 말했습니다.

<한준호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정치인 사면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로 넘기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싶고요."

당내에서는 과거 이른바 '조국 사태' 때처럼 '민심'과 괴리되는 모습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반면 빠른 사면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민형배 의원은 "정치인 사면도 필요하면 해야 한다"고 했고, 전용기 의원은 "조 전 대표가 '멸문지화' 당한 것을 빨리 회복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고 말했습니다.

정청래 대표가 취임 후 처음 평산마을을 찾아 문재인 전 대통령을 예방했지만, 예상과 달리 이 자리에서 조국 전 대표 사면 관련 얘기는 오가지 않았다고 당 관계자들은 전했습니다.

정 대표는 앞서 취임 인사차 조국혁신당 지도부를 찾은 자리에서도 사면권 행사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이란 원론적 입장만 밝혔습니다.

<정청래 / 더불어민주당 대표(어제)> "대통령이 어련히 알아서 잘 하시겠거니 생각하고…"

국민의힘은 조 전 대표가 특사 심사 대상에 포함된 것은 "굉장히 잘못된 일"이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송언석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국민적 불안과 우려가 큰, 지탄의 대상이었던 조국 대표를 포함시켰다는 것에 대해서 국민과 함께 분노합니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조국 전 대표의 '정계 복귀 시나리오'가 거론되는 등 사면이 결정될 경우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입니다.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성수 최성민 김상훈]

[영상편집 이애련]

[그래픽 강영진]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주희(ge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