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는 최근 산업현장에서 잇따르는 중대재해 사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

산업부도 에너지 공기업들을 불러모아 중대재해 예방 의지를 강조하고 높은 수준의 패널티 부과 지침도 예고했습니다.

장한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6월 초, 태안화력발전소의 비정규직 노동자 50대 김충현 씨가 홀로 선반작업을 하다 기계에 끼어 숨졌습니다.

그로부터 두 달도 되지 않아 동해화력발전소에서는 하청업체 소속 30대 비정규직 직원이 사망했습니다.

고층 높이에서 작업 발판 해체 작업 중 발판 틈새를 헛디뎌 추락한 겁니다.

이처럼 에너지공기업 산하 작업 현장에서 되풀이되는 안타까운 노동자 사망 사고에, 결국 산업통상자원부도 칼을 빼 들었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경기도 가평에 있는 신가평변전소를 찾아 전력 인프라 건설현장의 안전 실태를 점검하고, 한전, 한수원, 가스공사 등 에너지 공기업 사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최고경영자의 산업재해 예방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업계 모범이 돼야 할 에너지 공기업에서 중대재해가 잇따르는 점을 우려하며, 중대재해가 반복될 경우 강도 높은 제재를 예고했습니다.

이재명 정부가 '중대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한 만큼, 산업부 역시 기조에 발맞춰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선 겁니다.

<김정관/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특히 충분히 예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경영자의 의지 부족 등으로 예방 조치가 미흡한 기관에 대해서는 산업부가 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패널티를 부여할 예정입니다."

산업부는 향후 사고 예방을 위해 충분한 예산과 안전인력을 투입하고 위험한 현장에 첨단 장비를 도입하는 등 '산업안전 상생협력 모델'을 만들어가겠다는 계획입니다.

또 '위험의 외주화'를 부르는 불법 하도급이나 납품단가를 과도하게 낮춰 부르는 행태 등 중대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사안이 발견될 시에도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장한별입니다.

[영상편집 김도이]

#산업부 #중대재해 #산업재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