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평양 무인기 침투 의혹을 수사 중인 내란 특검팀이, 계획 단계에서부터 합참에 보고했다고 주장하는 드론사령관의 보고서를 확보해 살펴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문건의 정식 명칭은 '임무영역확장보고서'로, 대북 전단 살포 기능을 확대한단 내용이 담긴 걸로 추정되는데요.

엇갈린 지휘부 진술을 풀어나갈 핵심 키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 왜 그런지 이채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평양 무인기 작전'과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은 매 작전 수행 전,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으로부터 김명수 합참의장이 승인했다는 내용을 전달받았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매 작전 수행 전'이란 시점, 지난해 6월부터 9월 사이 계획·준비 단계를 말합니다.

달리 말해, 무인기 투입 작전은 지휘 계통을 거친 적법한 계획이었다는 겁니다.

실제 국방부와 합참에 보고된 문서도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취재 결과 해당 보고서 문건의 정식 명칭은 '임무영역확장보고서'로, 기존 정찰 기능에 더해, 대북 전단 살포까지 임무를 넓힌다는 내용이 담긴 걸로 전해졌습니다.

김 사령관 측이 합참 지휘를 받아 작전을 수행했단 증거로 제시한 건데, 정작 합참 측 말은 다릅니다.

김명수 합참의장은 계획 단계 보고가 있었지만 평양 무인기 작전과는 연관이 없고, 실제 평양 작전을 보고 받은 것도 지난해 9월 이후라고 특검에 진술한 걸로 전해졌습니다.

작전 준비·계획 단계에서 양측이 주장이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핵심은 보고서에 실제 '평양 침투 작전' 내용이 들어가 있는지 여부입니다.

전단 살포 능력을 확보한단 '계획 준비 단계'에서의 보고서와, 평양에 무인기를 침투시킨다는 '작전 실행 계획'은 엄연히 구분되기 때문입니다.

특검도 해당 보고서의 성격이, 평양 작전과의 연관성이 있는지 여부를 들여다보고 있는데, 예산이나 조직 확장을 위해 군에서 통상적으로 쓰는 보고서일 가능성도 열어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와 함께 특검은 국방장관 임명 전 민간인 신분이었던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김 사령관과 만나, 별도로 평양 무인기 작전 실행을 둘러싸고 실제 논의를 했는지도 살피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이채연입니다.

[영상편집 김 찬]

[그래픽 김형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채연(touch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