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찰청이 인천에서 발생한 사제 총기 사건에 대해 감사에 착수했습니다.
신고 70분 뒤 경찰이 현장에 진입하는 등 초동 대처 미흡 논란이 이어지자 사실관계 파악에 나선 것입니다.
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인천 사제총기 사건이 발생한 지난 20일, 사건의 첫 신고는 밤 9시 31분쯤 접수됐습니다.
피해자 가족의 구조요청이 이어졌지만, 경찰 특공대가 현장에 진입한 시간은 10시 43분쯤으로 최초 신고 접수 72분 뒤였습니다.
당시 아들을 총으로 쏜 A씨는 112 신고가 접수된 지 10분 만에 현장을 떠났지만, 경찰은 신고 내용을 토대로 그가 집 안에 있다고 판단해 경찰특공대를 기다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피해자 부인 등 가족들이 방안으로 피신해 문을 잠그고 신고를 했는데도 가족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별다른 진입 지시가 없었던 것입니다.
또한 사건 당시 관할 경찰서 지휘관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시 상황관리관은 현장에 출동해야 하는 내부 매뉴얼조차 몰라 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의 초동 대응이 부실했다는 논란이 커지자 경찰청은 사실관계 파악을 위한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이 직접 사건 상황을 다시 살피는데, 신고 접수부터 출동과 현장 진입 등에 문제가 없었는지를 따져볼 방침입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 관계자는 "현장 초동 조치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면밀하게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관할 경찰서는 "총을 쏜 A씨가 내부에 있는 거 같다는 신고 내용이 있어 쉽게 진입하지 못했다"며 "현장 직원들이 테라스를 통해 내부를 살펴보려고 시도하는 등의 노력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
[영상편집 최윤정]
#사제총기 #인천 #총기살인 #경찰 #사건사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팽재용(paengman@yna.co.kr)
신고 70분 뒤 경찰이 현장에 진입하는 등 초동 대처 미흡 논란이 이어지자 사실관계 파악에 나선 것입니다.
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인천 사제총기 사건이 발생한 지난 20일, 사건의 첫 신고는 밤 9시 31분쯤 접수됐습니다.
피해자 가족의 구조요청이 이어졌지만, 경찰 특공대가 현장에 진입한 시간은 10시 43분쯤으로 최초 신고 접수 72분 뒤였습니다.
당시 아들을 총으로 쏜 A씨는 112 신고가 접수된 지 10분 만에 현장을 떠났지만, 경찰은 신고 내용을 토대로 그가 집 안에 있다고 판단해 경찰특공대를 기다린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피해자 부인 등 가족들이 방안으로 피신해 문을 잠그고 신고를 했는데도 가족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며 별다른 진입 지시가 없었던 것입니다.
또한 사건 당시 관할 경찰서 지휘관은 현장에 출동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당시 상황관리관은 현장에 출동해야 하는 내부 매뉴얼조차 몰라 이를 지키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의 초동 대응이 부실했다는 논란이 커지자 경찰청은 사실관계 파악을 위한 감찰에 착수했습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이 직접 사건 상황을 다시 살피는데, 신고 접수부터 출동과 현장 진입 등에 문제가 없었는지를 따져볼 방침입니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 관계자는 "현장 초동 조치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면밀하게 확인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관할 경찰서는 "총을 쏜 A씨가 내부에 있는 거 같다는 신고 내용이 있어 쉽게 진입하지 못했다"며 "현장 직원들이 테라스를 통해 내부를 살펴보려고 시도하는 등의 노력이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
[영상편집 최윤정]
#사제총기 #인천 #총기살인 #경찰 #사건사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팽재용(paengm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