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제 미국과 일본의 관세협상 타결 과정에서도 '트럼프식' 딜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합의 서한까지 뜯어고치며 미국의 요구를 밀어부친 건데요.

최종 협상을 앞둔 한국 정부도 비상입니다.

강은나래 기자입니다.

[기자]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과 마주 앉은 트럼프 대통령 앞에 놓인 문서.

'4천억 달러'라고 인쇄된 글자 위에 'X'(엑스)를 그리고, 손으로 5천억 달러라고 쓴 것이 보입니다.

일본이 제안한 대미 투자 규모 4천억 달러가 트럼프 대통령 요구로 최종 5,500억달러까지 늘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공개한 이 사진 속 문서에 적힌 '10%'는 '상호관세율 15%'로 최종 결정됐고, 50%였던 '이익 공유 비율'은 90%로 바뀌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에 관세를 1%포인트(p) 인하할 때마다 보상을 요구했다는 요미우리신문 보도도 나왔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방금 역사상 가장 큰 무역 합의에 서명했습니다. 일본과의 이번 합의가 아마도 사상 최대 규모일 겁니다."

미국은 지난 주 인도네시아와의 협상에서 관세율을 19%로 예고보다 13%p 낮추는 대가로, 미국산 자동차와 농산물 등에 대한 수입 규제를 대거 풀게 해 사실상 '민원'을 해소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필리핀은 미국 제품에 무관세 시장을 내주고도, 관세율을 19%로 겨우 1%p 깎았는데, 여기에 미국은 "양국 상호방위조약이 남중국해 포함 태평양 어디든 적용된다"고 밝혀 필리핀에 대중 견제 노선 동참 약속까지 받아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필리핀은 중국 쪽으로 기울었던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게 필리핀에 좋지는 않았을 겁니다."

미일 합의에 제시된 엄격한 투자 조건과 관세율, 이익 분배 요구가 다른 나라에 협상 지침이 되는 상황.

실제로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이 일본에 처음 제시했던 4천억 달러, 우리 돈 54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한국에도 관세 인하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고 보도했습니다.

한국은 국방비 증액과 미제 무기 구매 확대 등 협상 카드를 준비하고 있지만, 특히 미국이 필리핀식 '중국 견제' 명확화를 강하게 요구한다면 외교‧안보적 현실을 감안할 때 쉽지 않은 협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강은나래입니다.

[영상편집 박창근]

#트럼프 #관세 #미국 #필리핀 #일본 #방위비 #한국 #인도네시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