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특검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습니다.
한 차례 소환조사 이후 20여일 만에 한 전 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한 건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진기훈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내란 특검팀이 마련돼있는 서울고등검찰청에 나와있습니다.
내란 특검팀이 오늘 오전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자택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내란 중요임무 종사와 위증 등의 혐의로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올라있는 상태인데요.
특검팀은 오늘 오전부터 서울 종로에 있는 한 전 총리 주거지에 수사관 등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2일 특검팀에 출석해 14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바 있는데요.
특검은 소환조사 22일만에 한 전 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비상계엄 후 허위로 작성한 계엄선포 문건에 윤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함께 서명했다는 의혹을 받는데요.
이후 계엄 관련 수사가 시작되자 한 전 총리는 강 전 실장에게 전화해 "사후에 문서를 만들었다는 것이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을 낳을 수 있으니 서명한 것을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검은 또 한 전 총리가 지난 2월 국회에서 계엄 선포문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 증언도 허위라고 보고 해당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앵커]
오늘 오전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 재판이 열리는데, 윤 전 대통령은 불출석할 예정이죠?
[기자]
네.
오늘 오전 10시 15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이 열리는데요.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상의 이유를 담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3주 연속 재판에 나오지 않는 모습입니다.
지난 10일 재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은 재구속 이후 두 번의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고, 재판부는 '기일 외 증인신문' 방식으로 지난 10일과 17일 재판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지난 17일 공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구속 이후 건강이 악화됐고, 특검의 공소유지가 위법하다'는 등의 이유로 향후 재판에도 출석하지 않겠단 의사를 밝힌 바 있는데요.
오늘 역시 윤 전 대통령이 끝내 나오지 않으면, 앞선 두 차례 재판과 같은 방식으로 재판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오늘 재판은 내란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추가 기소한 뒤 처음 열리는 형사재판입니다.
추가 기소 사건은 내란 주요 피고인들의 사건을 전담하는 형사25부가 아닌 형사35부에 배당된 상태여서, 오늘 재판에선 병합 여부에 관해 특검과 윤 전 대통령 측이 각자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한편 김건희 특검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 관련자들을 잇달아 소환하고 있죠?
[기자]
네.
김건희 특검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기업관계자들에 대한 추가 소환 조사에 나섭니다.
오늘 오전 10시 유니크와 중동파이낸스 관계자를 불러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가 대주주로 있던 IMS모빌리티에 투자하게 된 구체적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한편 특검팀은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게도 오늘 출석을 통보했는데요.
하지만 김 전 의원 측은 건강 상의 이유와 재판, 피고발 사건 대응 등으로 출석할 수 없다는 입장을 특검에 전한 것으로 알려져 오늘 소환조사에도 불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연합뉴스TV 진기훈입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진기훈(jinkh@yna.co.kr)
내란 특검이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습니다.
한 차례 소환조사 이후 20여일 만에 한 전 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한 건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진기훈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네.
내란 특검팀이 마련돼있는 서울고등검찰청에 나와있습니다.
내란 특검팀이 오늘 오전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자택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내란 중요임무 종사와 위증 등의 혐의로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올라있는 상태인데요.
특검팀은 오늘 오전부터 서울 종로에 있는 한 전 총리 주거지에 수사관 등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습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2일 특검팀에 출석해 14시간가량 조사를 받은 바 있는데요.
특검은 소환조사 22일만에 한 전 총리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했습니다.
한 전 총리는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비상계엄 후 허위로 작성한 계엄선포 문건에 윤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함께 서명했다는 의혹을 받는데요.
이후 계엄 관련 수사가 시작되자 한 전 총리는 강 전 실장에게 전화해 "사후에 문서를 만들었다는 것이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을 낳을 수 있으니 서명한 것을 없었던 것으로 하자"고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검은 또 한 전 총리가 지난 2월 국회에서 계엄 선포문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한 증언도 허위라고 보고 해당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앵커]
오늘 오전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 재판이 열리는데, 윤 전 대통령은 불출석할 예정이죠?
[기자]
네.
오늘 오전 10시 15분,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선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형사재판이 열리는데요.
윤 전 대통령 측은 건강상의 이유를 담은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습니다.
윤 전 대통령, 3주 연속 재판에 나오지 않는 모습입니다.
지난 10일 재구속돼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 전 대통령은 재구속 이후 두 번의 재판에 출석하지 않았고, 재판부는 '기일 외 증인신문' 방식으로 지난 10일과 17일 재판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지난 17일 공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구속 이후 건강이 악화됐고, 특검의 공소유지가 위법하다'는 등의 이유로 향후 재판에도 출석하지 않겠단 의사를 밝힌 바 있는데요.
오늘 역시 윤 전 대통령이 끝내 나오지 않으면, 앞선 두 차례 재판과 같은 방식으로 재판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오늘 재판은 내란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을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로 추가 기소한 뒤 처음 열리는 형사재판입니다.
추가 기소 사건은 내란 주요 피고인들의 사건을 전담하는 형사25부가 아닌 형사35부에 배당된 상태여서, 오늘 재판에선 병합 여부에 관해 특검과 윤 전 대통령 측이 각자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한편 김건희 특검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 관련자들을 잇달아 소환하고 있죠?
[기자]
네.
김건희 특검팀은 이른바 '집사 게이트 의혹'에 연루된 기업관계자들에 대한 추가 소환 조사에 나섭니다.
오늘 오전 10시 유니크와 중동파이낸스 관계자를 불러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가 대주주로 있던 IMS모빌리티에 투자하게 된 구체적 경위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한편 특검팀은 '공천개입 의혹'과 관련해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에게도 오늘 출석을 통보했는데요.
하지만 김 전 의원 측은 건강 상의 이유와 재판, 피고발 사건 대응 등으로 출석할 수 없다는 입장을 특검에 전한 것으로 알려져 오늘 소환조사에도 불응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고등검찰청에서 연합뉴스TV 진기훈입니다.
[현장연결 최승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진기훈(jinkh@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