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올 2분기 한국 경제가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전망했던 수치보다 0.1%포인트(p) 높습니다.
수출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였고, 민간소비도 소폭 늘어난 영향인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윤형섭 기자.
[기자]
네, 오늘(24일)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0.6%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0.2%, 역성장을 보인 것에서 한 분기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습니다.
한은은 지난 5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2분기 성장률을 0.5%로 전망했는데, 이보다 0.1%p 높은 수치입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 GDI는 전 분기보다 1.3%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압박에도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상반기 수출 성적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1분기 우리 경제를 짓눌렀던 정치 불확실성도 해소됐고, 소비심리 등이 개선되며 민간소비가 소폭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2분기 GDP를 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승용차와 오락문화를 중심으로 0.5% 증가했고,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습니다.
또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4.2% 증가했으며, 수입도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3.8% 증가했습니다.
반면,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1.5% 줄었고, 건설투자는 건물과 토목 건설이 줄며 1.5% 감소했습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 등을 중심으로 2.7% 늘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 숙박음식업이 늘며 0.6% 증가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4.4%, 전기가스수도 3.2%, 농림어업 1.4% 각각 감소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부의 추경 예산 집행으로 내수 회복세 조짐이 보이지만, 미 상호관세 협상은 여전히 리스크로 지적됩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번 주 한미 2+2 통상협의 등을 진행합니다.
향후 협상을 통해 정해질 관세율이 우리 경제 성장에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관세 #한국은행 #소비 #경제성장 #국내총생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올 2분기 한국 경제가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5월 전망했던 수치보다 0.1%포인트(p) 높습니다.
수출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였고, 민간소비도 소폭 늘어난 영향인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윤형섭 기자.
[기자]
네, 오늘(24일)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GDP 성장률이 0.6%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0.2%, 역성장을 보인 것에서 한 분기 만에 상승으로 돌아섰습니다.
한은은 지난 5월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2분기 성장률을 0.5%로 전망했는데, 이보다 0.1%p 높은 수치입니다.
2분기 실질 국내총소득, GDI는 전 분기보다 1.3%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상호 관세 압박에도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상반기 수출 성적이 예상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1분기 우리 경제를 짓눌렀던 정치 불확실성도 해소됐고, 소비심리 등이 개선되며 민간소비가 소폭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2분기 GDP를 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승용차와 오락문화를 중심으로 0.5% 증가했고,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1.2% 늘었습니다.
또 수출은 반도체와 석유화학제품을 중심으로 4.2% 증가했으며, 수입도 에너지류를 중심으로 3.8% 증가했습니다.
반면, 설비투자는 기계류를 중심으로 1.5% 줄었고, 건설투자는 건물과 토목 건설이 줄며 1.5% 감소했습니다.
경제활동별로는 제조업이 컴퓨터 등을 중심으로 2.7% 늘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 숙박음식업이 늘며 0.6% 증가했습니다.
반면, 건설업은 4.4%, 전기가스수도 3.2%, 농림어업 1.4% 각각 감소했습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정부의 추경 예산 집행으로 내수 회복세 조짐이 보이지만, 미 상호관세 협상은 여전히 리스크로 지적됩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이번 주 한미 2+2 통상협의 등을 진행합니다.
향후 협상을 통해 정해질 관세율이 우리 경제 성장에 주요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관세 #한국은행 #소비 #경제성장 #국내총생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