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년 전 오늘(15일), 청주 미호강 임시 제방이 무너지며 침수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 시민 14명이 빠져나오지 못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국정 조사를 촉구하고 있습니다.

천재상 기자입니다.

[기자]

2년 전 30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 다시 차량이 오갑니다.

지하차도 안쪽 벽에는 노란 안전 손잡이가 촘촘하게 설치됐습니다.

<천재상 기자> "시간이 흘러 참사가 발생한 지하차도는 복구됐지만, 그날의 아픔은 치유되지 않고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참사 2주기를 맞은 유족과 생존자들은 억울하게 세상을 떠난 희생자를 기리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참사 피해자들은 국정 조사를 통해 안전 매뉴얼 부재 등 감춰진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박진아 / 오송참사 유가족> "가장 중요한 게 지금 국정조사 이뤄져야 하고 그러면 국정 조사가 이뤄지면 진상 규명이 밝혀질 거고 최고 책임자도 처벌이 될 거고 우리는 그걸 바라고 있는 거죠."

검찰 등에 따르면 관계 기관들이 참사의 직접적 원인인 부실 제방을 방치했고, 사전 신고에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며 사고를 막을 기회를 놓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현재 참사와 관련해 형이 확정된 피고인은 제방 관련 공사 현장소장과 감리단장뿐이고, 일부 피고인은 오는 9월에야 첫 재판을 받는 등 책임자 처벌은 더디기만 합니다.

<오송참사 생존자협의회 대표> "(지난 2년간) 정부는 무관심했고 지자체는 계속 피해자 지우기에 급급해서 자기 책임 떠넘기기 급급했고..."

그간 잠잠했던 국정조사 논의는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시민단체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생명안전기본법'을 만들어 참사 반복을 막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선영 / 오송참사 시민대책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 "사회적 참사가 발생하면 진상규명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항구적인 기본법이 필요하다는 판단이고요."

오송참사 2주기 추모제에는 많은 시민들이 모여 참사 희생자와 그날의 고통 속에 머물러 있는 유족과 생존자들을 위로했습니다.

연합뉴스TV 천재상입니다.

[영상취재 이용준]

[영상편집 김은채]

#오송참사 #이재명 #충북_청주 #궁평2지하차도 #국정_조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천재상(geniu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