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7월 임시국회가 시작됐습니다.

여야는 공통 공약을 추리고 입법 과제를 정리하는 등 협치를 실현하자고 의지를 다졌지만, 쟁점 법안과 인사청문회 등 뇌관도 곳곳에 산적합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7월 임시국회 첫날, 여야 정책위의장은 첫 상견례를 하면서 공통공약을 놓고 협치를 위해 머리를 맞대자 다짐했습니다.

<김정재/국민의힘 정책위의장> "민생공통공약추진협의회 재가동을 제안을 하셨습니다. 민생 앞에는 여야가 따로 없다는 것으로 응답하겠습니다."

<진성준/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여야가 무려 200여 건의 공통 공약이 있더라고요. 그중에 입법이 필요한 것을 추려보니까 80여 건 되고요."

하지만 쟁점 법안을 둘러싼 여야의 파열음은 첫날부터 새어 나왔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방송3법'을 놓고 강하게 부딪힌 겁니다.

<박정훈/국민의힘 의원 (국회 과방위)> "우리가 정권 잡았으니까 '방송 우리 것으로 할 거야' 얘기를 하라고요. 이렇게 비겁한 꼼수를 쓰지 말고. 우리하고 충분히 협의도 안 하고 이렇게 또 독주를 하겠다는 것 아닙니까?"

<노종면/더불어민주당 의원 (국회 과방위)> "적어도 방송법에서만큼은 협치할 상황이 안 됐다, 지금 국민의힘 의원들께서 한 분도 발의하시지 않으셨어요. 그게 입장이라고 하셨고. 논의 구조에 아예 안 들어오셨던 것입니다."

여당 주도로 법안이 상임위 문턱을 통과하자, 야당에선 대통령실의 입장까지 요구하는 등 거세게 반발했습니다.

민주당은 "지난 정부에서 거부권을 행사했던 법안들을 집중적으로 통과시키는 게 목표"라며 7월 임시국회에서의 주요 법안들에 대해 속도전에 나설 태세입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에선 '독주 프레임'을 꺼내 여당을 비판하는 동시에, 줄줄이 예정된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매서운 검증 공세에 나선다는 입장입니다.

7월 임시국회에서 여당의 속도전과 야당의 여론전이 부딪혀 접점을 찾지 못할 경우, 협치를 기대하기 쉽지 않을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영상취재 신경섭 김성수 최성민 김상훈]

[영상편집 최윤정]

[뉴스리뷰]

#국회 #협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솔(solemi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