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내란 특검의 국무회의 관련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어제 (2일) 한덕수 전 총리 등 국무위원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수행실장까지 4명을 잇따라 조사했는데요.

한 전 총리는 14시간 가까이 특검의 조사를 받은 뒤 자정 무렵 귀가했습니다.

이채연 기자입니다.

[기자]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내란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고검 청사로 들어섭니다.

<한덕수/전 국무총리> "(사후 문건 작성 폐기 의혹에 대해서 한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한 전 총리는, 계엄 선포 뒤 뒤늦게 만들어진 새 선포 문건에 서명을 했다 폐기한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앞서 피의자 신분으로 경찰에 나가 대통령을 만류하려 했다고 주장해왔지만, 대통령실 CCTV를 통해 기존 진술과 배치되는 정황도 나왔습니다.

특검팀은 문건 폐기 배경에 윗선인 윤 전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 추궁한 걸로 전해졌는데, 한 전 총리를 피의자 신분으로 부른 건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습니다.

다만 경찰 수사 단계에서 이뤄진 한 전 총리의 출국금지 상태는 특검에서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특검 조사를 받았습니다.

두 사람은 계엄 해제 의결 국무회의에만 참석했고 계엄 선포를 위한 5분 남짓 국무회의엔 참석하지 않은 바 있습니다.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당시 국무회의 참석하셨을까요?) 아니요, 못했어요."

특검은 이들의 불출석 경위를 따지며 왜 일부만 참석했는지, 국회에서 계엄 해제요구안이 가결됐는데도 곧바로 국무회의에서 해제안이 의결되지 않은 이유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계엄 당일 국무 위원들에게 대통령실로 들어오라고 한 김정환 전 대통령실 수행실장도 특검 조사를 받았습니다.

김 전 실장은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에게 '대통령이 총리, 법무, 외교, 통일 장관, 국정원장, 행안부 장관을 부르라고 했다'는 말을 전하고 호출 과정에 관여한 인물입니다.

오는 토요일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앞두고, 국무위원들의 계엄 심의권을 침해했단 직권남용 혐의를 입증하는 데 속도를 내는 걸로 풀이됩니다.

연합뉴스TV 이채연입니다.

[영상취재기자 이재호]

[영상편집 이애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채연(touch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