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 법안이 상원을 거치면서,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더 옥죄는 쪽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우리 기업에도 적잖은 타격이 예상됩니다.

이치동 기자입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공약과 국정 과제를 총망라한 감세 및 재정 지출 조정 법안.

지난달 말 하원을 통과한 후 미 상원에서도 본격 심의에 들어갔습니다.

공화당 이탈표를 막기 위해 일부 내용이 수정됐습니다.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 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이 더 줄어듭니다.

기존 법안은 2027년까지 관련 시설 착공 시 투자세액공제를 일부 인정했지만, 수정안은 같은 해까지 전력 생산을 시작한 기업만 혜택 대상으로 합니다.

여기에 중국산 기술이나 부품을 쓰면 세금을 부과하는 조항까지 추가됐습니다.

<존 튠/ 미 상원 공화당 원내대표 (현지시간 28일)> "이 법안 하나로 미국민 위한 감세, 경제 성장, 국방, 국경 안보, 에너지 안정 등 우선 과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발도 만만치 않습니다.

법안이 통과될 경우, 재생에너지 업계에 더 큰 타격을 줄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한국의 대표적인 태양광 업체인 한화큐셀도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 중 하나로 지목했습니다.

한화큐셀은 바이든 행정부 시절 약속된 세제 혜택을 기반으로 미국 조지아주에 신규 태양광 패널 공장 건설을 추진 중입니다.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 시점도 오는 9월 30일로 앞당겨졌습니다.

<척 슈머/ 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현지시간 28일)> "(공화당은) 한밤중에 공개된 급진적 법안을 밀어붙이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그 내용을 모르고 넘어가길 바라면서요."

트럼프 대통령은 7월 4일 독립기념일까지 법안을 처리해 자신 서명할 수 있게 하라고 공화당 의원들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원의 수정안이 통과돼도 하원 재표결 절차가 남아 있어, 최종 처리까지 진통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연합뉴스 이치동입니다.

[영상편집 강내윤]

[그래픽 심규택]

[글로벌브리핑]

#미상원 #감세법안 #태양광 #한국기업 #트럼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치동(lc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