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고삼석 동국대 AI 융합대학 석좌교수>

한류를 이끈 K-콘텐츠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아 새로운 위기를 맞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AI 양대 강국인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진 건데요.

오늘 초대석에서는 고삼석 동국대 AI 융합대학 석좌교수 모시고 AI시대 한류의 미래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지난 30년 동안 정부와 대학에서 콘텐츠 한류, 미디어와 IT분야 정책과 행정 등에 관해 연구를 해오셨지 않습니까? 이 질문부터 드리고 싶어요. 현재 한류는 위기인가요, 아닌가요?

<질문 2> 한류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선, 한류의 현주소를 좀 더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한 문제일 텐데요. 교수님의 경우엔 특히 해외 한류 현장 곳곳을 다녀온 후에 기록으로도 남기는 작업을 하셨지 않습니까? 이 작업을 하게 된 계기가 궁금한데요?

<질문 3> 특히 교수님이 미래의 한류에 대해 쓴 책이 영어 번역본 출간을 위해 권위 있는 글로벌 출판사와 협의 중이라고 들었습니다. 해외에서도 미래 한류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봐야할까요?

<질문 4> 그동안 한류가 만들어온 성과도 상당하지 않습니까? 어쩌면 지난 수십년 간 우리나라의 큰 성장 동력이기도 했는데요. 한류가 지금까지 거둔 유형과 무형적 성과는 각각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5> 그렇다면 왜 ‘한류의 위기’라는 이야기가 나올까, 이 점도 짚어봐야겠습니다. 교수님은 특히 K 콘텐츠의 다양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한류의 지속적 성장은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셨더라고요. 콘텐츠의 건강한 생태계가 한류와 어떤 연관이 있다고 보신 건가요?

<질문 6> 특히 최근엔 한류 확산에 ‘넷플릭스 효과’가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도 많지 않습니까? 과거엔 우리의 전통적인 미디어 역할이 컸다면 이제는 글로벌 OTT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가 너무 커진 게 아닌가란 생각도 드는데요. 이런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질문 7> 미래의 한류를 이끌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가 바로 K 콘텐츠와 함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지 않습니까? 교수님은 K-엔터테크란 개념을 강조하셨는데요. K-엔터테크라는 건 어떤 의미인 건가요?

<질문 8> 한류의 미래를 준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건 정부의 노력일 겁니다. 교수님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후보 시절 글로벌 K-컬처전략위원회 위원장을 지내셨는데요. 당시 이재명 대통령이 내세운 공약이 바로 ‘세계 5대 문화강국 실현’이었거든요. 이걸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그림은 어떤 게 있을까요?

#한류 #인공지능 #OTT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경재(parkpd@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