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음주 한미 간 관세 협의가 본격화되면 미국이 한국에 요구하는 '청구서'도 구체화될 예정입니다.

농산물 개방이나 구글 지도 등도 요구할 가능성이 큰데, 미국 측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배진솔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국과 미국이 본격 협의하기로 한 항목은 균형 무역과 비관세 조치 등 6개 분야.

앞서 미국과 영국의 첫 무역합의에 포함된 항목과 같습니다.

<안덕근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16일)> "미국에 입장권을 지금 내라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해놓고 어느 정도 본인들이 만족할 수준이 되면 낮춰주겠다는 상황이기 때문에…"

앞선 미영 합의로 봤을 때, 경제 안보 협력과 원산지 항목 논의는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걸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이 전세계에 부과하고 있는 철강·자동차 제품의 25% 품목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할 것을 요구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외 디지털 교역과 상업적 고려는 그간 수출 장애 요인이 됐다고 주장하는 각종 비관세 조치에 대한 '패키지 딜'이 될 전망입니다.

30개월 미만 소고기 수입 제한에서부터 구글의 정밀 지도 반출 제약 문제, 약값 책정 정책, 스크린 쿼터제 등을 꺼내 양보를 압박할 수 있습니다.

<장상식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상연구원장> "실제 시장에서 기업 활동을 제약하거나 촉진시키는 비즈니스 전반에 대한 협상을 하겠다는 뜻으로 이해됩니다."

양국의 고위급 회의는 대선이 끝난 뒤인 6월 중순.

일단 정부는 구글의 정밀 지도 반출 문제와 막대한 투자금이 들어가는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 등 민감한 결정은 차기 정부에 넘겨둔 상황입니다.

미국 측의 요구를 다 들어줄 수는 없는 만큼 미국 측이 생각하는 우선 순위와 의도 등을 파악해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배진솔입니다.

[영상편집 박창근]

[그래픽 최현규]

[뉴스리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배진솔(sincer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