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심 정보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T에서 가입자들이 대규모로 이탈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정부가 SKT에 유심 수급이 정상화 될 때까지 신규가입을 전면 중단하라고 강력히 권고했고, 국회까지 나서 번호이동 위약금을 면제하라며 압박하고 있습니다.

업계 1위의 아성을 지켜온 SKT는 최대 위기를 맞았습니다.

문형민 기자입니다.

[기자]

SKT에서 해킹 사건이 발생한 지난달 22일 이후, 유심 교체를 마친 가입자는 78만 4천명.

전체 가입자의 3% 수준에 불과합니다.

SKT가 앞으로 두 달간 1천만 개의 유심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지만, 현재 보유한 물량으로는 2,500만 가입자 전부를 감당할 수 없어 ‘유심 대란’은 당분간 지속될 걸로 보입니다.

<유영상 / SKT 대표이사(지난달 30일)>"(통신사 역사상 최악의 해킹 사고라는 데 동의하십니까?) 예."

<유영상 / SKT 대표이사(지난달 30일)>"(가입자가 다 그냥 털렸다고 생각하면 됩니까?) 최악의 경우 그럴 수 있다고 가정하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사상 초유의 사태에 가입자들은 등을 돌리고 있습니다.

유심 무상교체를 개시한 지난달 28일 2만5천여 명, 29일과 30일 각 3만2천여 명 등 사흘간 9만여 명의 가입자가 순감했는데, 같은 달 26일 1,665명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입니다.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는 SKT, 업계 1위 아성은 더 흔들릴 전망입니다.

정부가 유심 부족 현상이 해결될 때까지 신규 가입을 받지 말 것을 행정지도하는 등 초강수를 둔데다, ‘통신사 이동 위약금 면제’에 대한 법률검토까지 이뤄지고 있어섭니다.

국회도 SKT를 향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이와 관련한 정보통신사업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데 이어, 국민의힘은 류정환 SKT 부사장을 불러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

<최형두 / 국민의힘 의원>“과방위는 다시 한 번 이 문제와 함께, SKT의 책임 있는 대책 그리고 정부와 통신사들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대응할 것인가…”

국회는 오는 8일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증인으로 하는 단독 청문회를 열고 위약금 면제 등 각종 보상 대책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문형민입니다.

(영상취재 김상훈/영상편집 박상규/그래픽 심규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1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