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스포츠의 핵심 흥행 요소 중 하나는 속도입니다.
'고요한 전쟁'으로 불리는 바둑도 예외가 아닌데요.
장시간 다음 수를 계산하던 기사들이 이젠 제한시간에 쫓겨 빠르게 돌을 놓아야 하는 진풍경이 만들어졌습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야구에서 공을 던지고 타석을 준비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피치 클록.
경기 진행 시간을 단축해 박진감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처럼 스포츠의 흥행 요소가 된 스피드, 과거 길게는 며칠 동안 대국이 이어지던 바둑도 이 기류에 올라탔습니다.
한국기원은 3년 전 '피셔룰'이라는 새로운 대국방식을 도입했습니다.
대국이 시작되면 양측이 동일한 '제한시간'을 받고, 돌을 한 번 놓을 때마다 '추가시간'이 계속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도입 초기에는 제한시간이 최대 40분, 돌을 놓을 때마다 최대 20초씩 추가됐습니다.
하지만 기원은 올 정규리그부터 이 시간을 크게 줄였습니다. 이제 처음 주어지는 '제한시간'은 1분, 돌을 놓을 때마다 추가되는 시간은 10초입니다.
마지막 10초가 남았을 때부턴 기계가 카운트다운도 해줍니다.
<현장음> "10초, 9, 8, 7…"
기사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돌을 놓을수록 수 계산에 쓸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건데, 경기 지연을 막고 몰입도를 높인다는 설명입니다.
<신진서 9단/프로바둑 기사> "재미도 굉장히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고요. 저도 그런 변화들이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지현 9단/프로바둑 기사>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한다든가 책도 자주 읽으려고 하고, 사색도 하면서 그런 식으로 멘탈 관리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이 가장 먼저 피셔룰을 도입한 국가인 만큼, 국제기전을 개최할 경우 외국 선수들이 혼란을 겪을 우려도 있습니다.
앞서 중국의 커제 9단은 한국기원의 '사석 관리' 규정에 반발해 대국을 포기했고, 이후 한국에서 주최한 기전에는 출전하지 않고 있습니다.
더욱 강화된 피셔룰이 흑과 백의 장기전이 치러지던 바둑판 위에 새로운 리듬을 불어넣었지만, 변화에 따른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선 국가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영상취재 정창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현정(hyunspirit@yna.co.kr)
스포츠의 핵심 흥행 요소 중 하나는 속도입니다.
'고요한 전쟁'으로 불리는 바둑도 예외가 아닌데요.
장시간 다음 수를 계산하던 기사들이 이젠 제한시간에 쫓겨 빠르게 돌을 놓아야 하는 진풍경이 만들어졌습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야구에서 공을 던지고 타석을 준비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피치 클록.
경기 진행 시간을 단축해 박진감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처럼 스포츠의 흥행 요소가 된 스피드, 과거 길게는 며칠 동안 대국이 이어지던 바둑도 이 기류에 올라탔습니다.
한국기원은 3년 전 '피셔룰'이라는 새로운 대국방식을 도입했습니다.
대국이 시작되면 양측이 동일한 '제한시간'을 받고, 돌을 한 번 놓을 때마다 '추가시간'이 계속 더해지는 방식입니다.
도입 초기에는 제한시간이 최대 40분, 돌을 놓을 때마다 최대 20초씩 추가됐습니다.
하지만 기원은 올 정규리그부터 이 시간을 크게 줄였습니다. 이제 처음 주어지는 '제한시간'은 1분, 돌을 놓을 때마다 추가되는 시간은 10초입니다.
마지막 10초가 남았을 때부턴 기계가 카운트다운도 해줍니다.
<현장음> "10초, 9, 8, 7…"
기사들이 더 빨리, 더 많은 돌을 놓을수록 수 계산에 쓸 수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건데, 경기 지연을 막고 몰입도를 높인다는 설명입니다.
<신진서 9단/프로바둑 기사> "재미도 굉장히 필요하기 때문에 다양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고요. 저도 그런 변화들이 나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지현 9단/프로바둑 기사>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한다든가 책도 자주 읽으려고 하고, 사색도 하면서 그런 식으로 멘탈 관리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한국이 가장 먼저 피셔룰을 도입한 국가인 만큼, 국제기전을 개최할 경우 외국 선수들이 혼란을 겪을 우려도 있습니다.
앞서 중국의 커제 9단은 한국기원의 '사석 관리' 규정에 반발해 대국을 포기했고, 이후 한국에서 주최한 기전에는 출전하지 않고 있습니다.
더욱 강화된 피셔룰이 흑과 백의 장기전이 치러지던 바둑판 위에 새로운 리듬을 불어넣었지만, 변화에 따른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선 국가 간 긴밀한 소통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영상취재 정창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신현정(hyunspirit@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ADVERTISEMENT
이 기사 어떠셨나요?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