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임기단축 개헌?…여 "절대 동의 못 해"

[뉴스리뷰]

[앵커]

야당 발 '개헌론' 논의의 불씨가 여권으로도 옮겨붙었습니다.

당권 주자로 거론되는 중진들은 '현직 대통령의 임기단축'엔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도, 개헌 필요성에 대해선 대체로 공감대를 나타냈습니다.

박현우 기자입니다.

[기자]

22대 국회 192석의 '거대 야당'이 쏘아 올린 '개헌론'.

여당으로선 받아들이기 힘든 대통령의 '거부권 제한'과 임기단축 등이 거론돼 외면받아 왔는데, 나경원 당선인의 발언이 도화선이 됐습니다.

<나경원 / 국민의힘 당선인 (지난 27일, 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한 부분이라서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지만, 개헌 논의를 할 때, 모든 것을 열어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직 대통령의 임기단축 가능성도 열어놓은 듯한 발언에 당 지도부는 '개인의견'일 뿐이라며 선을 그었고,

<추경호 / 국민의힘 원내대표> "국민의힘 모든 의원들은 거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현직 대통령의 임기 단축 운운 개헌은 절대 동의할 수 없다…."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윤상현 의원도 임기단축 개헌론은 '야당의 선동 프레임'이자 '나쁜 정치의 전형'이라며 날을 세웠습니다.

논란이 일자 나 당선인은 대통령과 현 정권을 흔들기 위한 정략적 의도의 개헌 논의는 자신도 반대하고, 대통령 5년 임기는 원칙이고 국민 공동체의 약속이라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연금개혁과 관련해 일부 '예비 당권주자'들이 '민주당 안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는 등 벌써부터 선명성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나 당선인과 김태호, 안철수, 윤상현 의원, 유승민 전 의원 등이 개헌 자체에는 찬성한다는 입장이라, 당권 경쟁 과정에서 '각론'을 둘러싼 치열한 논쟁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한편, 당 일각의 '윤대통령 탈당설'과 관련해 황우여 비대위원장은 그것이야 말로 '정치 후퇴'라면서, 대통령을 만나면 자신이 먼저 '탈당은 꿈도 꾸지 말라'고 말할 것이라며 일축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영상취재기자 신경섭·김상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