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했지만 핵심은 피해…DL·SPC회장에 쏟아진 질책

[뉴스리뷰]

[앵커]

잇단 노동자 사망 사고로 안전불감증 문제 지적을 받은 DL그룹과 SPC 회장이 국회 청문회장에 불려 나와 나란히 고개를 숙였습니다.

안전조치 강화를 약속하며 한껏 몸을 낮췄지만 핵심 질문은 비켜 갔습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허영인 SPC그룹 회장과 이해욱 DL그룹 회장이 국회 청문회장에 증인으로 출석했습니다.

두 회장은 자세를 낮추고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허영인 / SPC그룹 회장> "너무 안타깝고 많은 반성을 하고 있습니다. 국민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사과의 말씀을 다시 한번 드립니다."

<이해욱 / DL그룹 회장> "대한민국에서 가장 안전한 현장을 운영하는 회사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하지만 계열사 제빵공장에서 연달아 발생한 근로자 끼임 사고 원인을 지적하는 과정에서 허 회장은 자신이 계열사의 경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진 않는다고 강조했고,

<노웅래 / 더불어민주당 의원> "경영에도 일부 관여하시면 중대재해처벌법의 대상인 건 아시죠?"

<허영인 / SPC그룹 회장> "예. 그런데 제가 직접적으로 관여한 부분은 없습니다."

사고의 핵심으로 꼽히는 강한 노동 강도, '2조 2교대 근무'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전용기 / 더불어민주당 의원> "죽음의 사고 막기 위해서 노동자들에게 힘을 실어주겠다, 2교대 개선하겠다, 그 말씀은 해줄 수 있지 않으십니까?"

<허영인 / SPC그룹 회장> "하여튼 앞으로 좀 더 많은 노력을 하겠습니다."

건설사 DL그룹의 사망 사고와 관련해서는 비용을 최소화 하려는 최저가 낙찰제나 다단계 하도급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과, 원청업체의 안전 감독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도 지적됐습니다.

<이해욱 / DL그룹 회장> "사고 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곳은 사고 현장이고 거기 대부분 협력업체 근로자분들이 계셔서 그런 거 같습니다."

<윤건영 / 더불어민주당 의원> "원청의 책임과 의무가 중요하다는 겁니다. DL보다 매출 규모 크고 사업장 많은 삼성물산이나 GS건설 이렇게 (사고) 많지 않아요."

한편 청문회에선 두 회장이 해외 출장을 이유로 지난 국정감사에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한 질타도 이어졌습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DL #SPC #청문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