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지이슈] 기준금리 3% 시대…얼어붙는 부동산 시장
■ 방송 : <뉴스1번지>
■ 진행 : 정영빈, 이윤지 앵커
■ 출연 :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한국은행이 석 달 만에 또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절벽을 넘어 부동산 시장이 '빙하기'에 진입할 거란 전망까지 나오는데요.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한국은행이 석 달 만에 기준금리를 또 0.5%p 올리면서, 기준금리가 10년 만에 3%에 이르렀습니다.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인데요. 미국이 연말까지 두 번 더 0.5%p 이상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질문 2>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이번 금리 인상을 통해 부동산 가격이 조정될 거라고 강조하면서, 부동산 가격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미칠 여파,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3> 특히 올 연말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8%대까지 진입하면서 집값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는데요? 어떻게 전망하고 계신가요?
<질문 3-1>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전세자금 대출의 93.5%가 변동금리형 대출이라고 하던데요?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질문 4> 전세 이자 부담이 늘면서 월세로 돌아서는 수요자들이 증가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역전세난이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시중은행 주요 대출 금리가 8%를 넘는 곳이 늘면서 불어나는 이자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른바 '영끌족'과 '빚투족'들의 이자 부담, 그야말로 눈덩이가 될 텐데, 시장에 나온 영끌족의 '급매'도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하던데요?
<질문 6>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역대 처음으로 1,000건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00건 미만은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라면서요. 거래가 끊긴 서울 아파트 시장의 하락폭은 어떻게 전망하고 계십니까?
<질문 7> 서울 아파트값은 19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른바 재건축 호재가 있는 구축 아파트 역시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기간 내 집을 팔려는 매도자들의 고심도 크겠습니다?
<질문 8> 매수자 우위의 시장 분위기가 두드러진 곳이 서울 '노도강' 지역이라고 하던데요. 2019년 상반기 이후 3년여 만에 매매수급지수가 70선 초반까지 떨어졌다면서요? 2030세대의 매수세가 가장 강했던 지역 아닌가요?
<질문 8-1>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얼어붙은 가운데 강남 3구와 나머지 지역 간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청약시장도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청약 미달에 이어 미분양·미계약 물건도 늘고 있다면서요?
<질문 10>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이 22.4%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록 역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01년 1월 이래 최저치인데요. 경매시장도 당분간은 살아나기 어려워 보입니다?
<질문 11> 이런 상황에서 일부 주택 대기 수요자들은 관망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상기가 끝날 때까지 이런 부동산 거래 한파가 지속될까요? 매도자나 수요자들은 얼마나 버텨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 방송 : <뉴스1번지>
■ 진행 : 정영빈, 이윤지 앵커
■ 출연 :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
한국은행이 석 달 만에 또 '빅스텝'을 단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은 더 얼어붙을 것으로 보입니다.
거래절벽을 넘어 부동산 시장이 '빙하기'에 진입할 거란 전망까지 나오는데요.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한국은행이 석 달 만에 기준금리를 또 0.5%p 올리면서, 기준금리가 10년 만에 3%에 이르렀습니다.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인데요. 미국이 연말까지 두 번 더 0.5%p 이상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추가 금리 인상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질문 2>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이번 금리 인상을 통해 부동산 가격이 조정될 거라고 강조하면서, 부동산 가격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 미칠 여파,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3> 특히 올 연말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단이 8%대까지 진입하면서 집값 하락세가 더욱 가팔라질 수 있다는 시각도 있는데요? 어떻게 전망하고 계신가요?
<질문 3-1>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전세자금 대출의 93.5%가 변동금리형 대출이라고 하던데요? 특단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질문 4> 전세 이자 부담이 늘면서 월세로 돌아서는 수요자들이 증가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역전세난이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어떻게 보세요?
<질문 5> 시중은행 주요 대출 금리가 8%를 넘는 곳이 늘면서 불어나는 이자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이른바 '영끌족'과 '빚투족'들의 이자 부담, 그야말로 눈덩이가 될 텐데, 시장에 나온 영끌족의 '급매'도 거래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하던데요?
<질문 6> 지난 8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역대 처음으로 1,000건을 밑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00건 미만은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처음이라면서요. 거래가 끊긴 서울 아파트 시장의 하락폭은 어떻게 전망하고 계십니까?
<질문 7> 서울 아파트값은 19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른바 재건축 호재가 있는 구축 아파트 역시 약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유예 기간 내 집을 팔려는 매도자들의 고심도 크겠습니다?
<질문 8> 매수자 우위의 시장 분위기가 두드러진 곳이 서울 '노도강' 지역이라고 하던데요. 2019년 상반기 이후 3년여 만에 매매수급지수가 70선 초반까지 떨어졌다면서요? 2030세대의 매수세가 가장 강했던 지역 아닌가요?
<질문 8-1> 이렇게 부동산 시장이 전반적으로 얼어붙은 가운데 강남 3구와 나머지 지역 간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9> 청약시장도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청약 미달에 이어 미분양·미계약 물건도 늘고 있다면서요?
<질문 10>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이 22.4%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록 역시 관련 집계를 시작한 2001년 1월 이래 최저치인데요. 경매시장도 당분간은 살아나기 어려워 보입니다?
<질문 11> 이런 상황에서 일부 주택 대기 수요자들은 관망세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금리 인상기가 끝날 때까지 이런 부동산 거래 한파가 지속될까요? 매도자나 수요자들은 얼마나 버텨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