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기준금리 0.25%p 인상…사상 첫 4회 연속↑
<출연 : 유혜미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사상 첫 4회 연속 금리 인상인데요.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5%대로 올렸습니다.
관련 내용들, 유혜미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P 올린 데 이어, 이달에도 0.25%P 인상했습니다. 4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건 처음인데요. 배경, 어떻게 분석하고 계신가요?
<질문 1-1>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가 아닌 지난번처럼 0.5%P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는데요. 0.25%P로 결정을 한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오늘 결정으로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같아졌지만, 다음 달 미국이 다시 빅스텝 또는 자이언트스텝을 밟는다면 또 다시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연준 기조에 따라 한은도 다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1> 미국 역시 두 번 연속 기준금리를 0.75%P 올린 상태인데요. 다음 달 세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입니다. 미국 전문가들도 0.5%P를 올릴 것이냐, 0.75%P를 올릴 것이냐 의견이 팽팽하다고 하는데요.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3> 오늘부터 시작되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입을 주목하고 있는데요. 우리 시간으로 내일 밤 열리는 연설에서 9월 금리 인상과 관련해 어느 정도 언급을 할지, 교수님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3-1> 미국 경제학자의 72%가 내년 중반부터 경기 침체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하는데요. 지난달 파월 의장은 침체 없이도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는 방안이 아직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연준의 긴축 정책에도 세계 경제가 더 힘들어지게 되는 건가요?
<질문 4> 이번엔 환율 이야기 좀 해 보겠습니다. 외환 전문가들이 1차 저항선으로 전망했던 1,350원대가 깨졌습니다. 환율 급등세가 심상치 않자 정부가 구두 개입에 나섰지만, 환율 방어가 쉽지는 않아 보이는데, 교수님께선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1> 오늘 한은이 또 다시 기준금리를 올리긴 했지만, 이것이 과연 환율 상승을 저지할 수 있을까요? 환율이 어디까지 오를지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은데, 일각에선 1,400원도 시간문제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질문 4-2> 달러 강세로 인해 원화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매도가 많아져야 하는데, 전망과 달리 외국인 자금이 크게 이탈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질문 5>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환율 급등과 관련해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에도 금융 안정성 유지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최근 들어 환율 안정을 위해 정부가 나서면서 국내 외환보유고가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줄고 있는데다 단기외채 비율도 10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질문 6> 아무래도 가장 걱정되는 건 물가입니다. 한은이 이번에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았는데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까지 높였습니다. 24년 만에 최고 수준인데요. 한은이 이런 전망을 내놓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7> 8월 들어 기대인플레율이 4.3%로 8개월 만에 하락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가하고 체감물가 인식은 여전히 높습니다. 소비 감소로 인해 기업들의 재고도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것들이 경기 침체를 알리는 신호가 아닐까 싶은데,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유혜미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했습니다.
사상 첫 4회 연속 금리 인상인데요.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도 5%대로 올렸습니다.
관련 내용들, 유혜미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한꺼번에 0.5%P 올린 데 이어, 이달에도 0.25%P 인상했습니다. 4회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건 처음인데요. 배경, 어떻게 분석하고 계신가요?
<질문 1-1>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가 아닌 지난번처럼 0.5%P를 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있었는데요. 0.25%P로 결정을 한 이유는 뭐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오늘 결정으로 한국과 미국의 금리가 같아졌지만, 다음 달 미국이 다시 빅스텝 또는 자이언트스텝을 밟는다면 또 다시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질 수밖에 없지 않습니까? 연준 기조에 따라 한은도 다시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2-1> 미국 역시 두 번 연속 기준금리를 0.75%P 올린 상태인데요. 다음 달 세 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제기된 상황입니다. 미국 전문가들도 0.5%P를 올릴 것이냐, 0.75%P를 올릴 것이냐 의견이 팽팽하다고 하는데요.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3> 오늘부터 시작되는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입을 주목하고 있는데요. 우리 시간으로 내일 밤 열리는 연설에서 9월 금리 인상과 관련해 어느 정도 언급을 할지, 교수님은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질문 3-1> 미국 경제학자의 72%가 내년 중반부터 경기 침체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하는데요. 지난달 파월 의장은 침체 없이도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는 방안이 아직 있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 연준의 긴축 정책에도 세계 경제가 더 힘들어지게 되는 건가요?
<질문 4> 이번엔 환율 이야기 좀 해 보겠습니다. 외환 전문가들이 1차 저항선으로 전망했던 1,350원대가 깨졌습니다. 환율 급등세가 심상치 않자 정부가 구두 개입에 나섰지만, 환율 방어가 쉽지는 않아 보이는데, 교수님께선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1> 오늘 한은이 또 다시 기준금리를 올리긴 했지만, 이것이 과연 환율 상승을 저지할 수 있을까요? 환율이 어디까지 오를지 궁금해하시는 분들 많은데, 일각에선 1,400원도 시간문제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교수님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질문 4-2> 달러 강세로 인해 원화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매도가 많아져야 하는데, 전망과 달리 외국인 자금이 크게 이탈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이건 왜 그런 건가요?
<질문 5>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환율 급등과 관련해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에도 금융 안정성 유지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최근 들어 환율 안정을 위해 정부가 나서면서 국내 외환보유고가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줄고 있는데다 단기외채 비율도 10년 만에 최대 수준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질문 6> 아무래도 가장 걱정되는 건 물가입니다. 한은이 이번에 수정 경제 전망도 내놓았는데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5%대까지 높였습니다. 24년 만에 최고 수준인데요. 한은이 이런 전망을 내놓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질문 7> 8월 들어 기대인플레율이 4.3%로 8개월 만에 하락했다고 하는데요. 그럼에도 불가하고 체감물가 인식은 여전히 높습니다. 소비 감소로 인해 기업들의 재고도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런 것들이 경기 침체를 알리는 신호가 아닐까 싶은데,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