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대통령, 전현희·한상혁 거취에 "알아서 판단할 문제"
[뉴스리뷰]
[앵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모두 문재인 정부가 임명했고, 임기는 1년 정도 남아있습니다.
이들이 새 정부 국무회의에서 배제되며 거취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는데, 윤석열 대통령도 직접 입을 열었습니다.
방현덕 기자입니다.
[기자]
장관급인 전현희·한상혁 위원장은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관례상 국무회의에 참석해 왔습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두 위원장이 새 정부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라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굳이 올 필요 없는 사람까지 다 배석시켜서 국무회의를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은 있습니다."
허심탄회한 논의를 하는 자리에, 전 정부 인사들이 동석하는 것에 불편하단 뜻을 내비친 겁니다.
스스로 물러나길 바라냐는 질문엔 이렇게 답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임기가 있으니까, 자기가 알아서 판단할 문제 아니겠습니까?"
사실상 자진 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단 해석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은 두 위원장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동의하지 않는 인사라며 조속한 거취 결단을 공개 촉구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철학도 맞지 않는 사람 밑에서 왜 자리를 연명합니까. 정치논리적으로 있을 수가 없는 거죠."
민주당은 임기가 남았는 데 물러나라고 압박하는 건 직권남용이라고 반발했습니다.
<박홍근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정부·여당에 대해서도 검찰이 즉각 영장 청구하고 압수수색에 나서십시오."
전 위원장과 한 위원장 모두 남은 임기를 지키겠다는 뜻을 밝힌만큼 거취를 둘러싼 신구권력의 '불편한 동거'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연합뉴스TV 방현덕입니다.
#윤대통령 #전현희 #한상혁 #국무회의 #자진사퇴 #직권남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과 한상혁 방송통신위원장, 모두 문재인 정부가 임명했고, 임기는 1년 정도 남아있습니다.
이들이 새 정부 국무회의에서 배제되며 거취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는데, 윤석열 대통령도 직접 입을 열었습니다.
방현덕 기자입니다.
[기자]
장관급인 전현희·한상혁 위원장은 국무위원은 아니지만, 관례상 국무회의에 참석해 왔습니다.
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은 두 위원장이 새 정부 국무회의 참석 대상이 아니라고 거듭 선을 그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굳이 올 필요 없는 사람까지 다 배석시켜서 국무회의를 할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은 있습니다."
허심탄회한 논의를 하는 자리에, 전 정부 인사들이 동석하는 것에 불편하단 뜻을 내비친 겁니다.
스스로 물러나길 바라냐는 질문엔 이렇게 답했습니다.
<윤석열 / 대통령> "임기가 있으니까, 자기가 알아서 판단할 문제 아니겠습니까?"
사실상 자진 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했단 해석이 나왔습니다.
국민의힘은 두 위원장이 새 정부 국정과제에 동의하지 않는 인사라며 조속한 거취 결단을 공개 촉구했습니다.
<권성동 / 국민의힘 원내대표(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철학도 맞지 않는 사람 밑에서 왜 자리를 연명합니까. 정치논리적으로 있을 수가 없는 거죠."
민주당은 임기가 남았는 데 물러나라고 압박하는 건 직권남용이라고 반발했습니다.
<박홍근 /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정부·여당에 대해서도 검찰이 즉각 영장 청구하고 압수수색에 나서십시오."
전 위원장과 한 위원장 모두 남은 임기를 지키겠다는 뜻을 밝힌만큼 거취를 둘러싼 신구권력의 '불편한 동거'가 장기화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연합뉴스TV 방현덕입니다.
#윤대통령 #전현희 #한상혁 #국무회의 #자진사퇴 #직권남용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