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유행 때도 못들여온 이부실드 이제서야…'사후약방문'?
[뉴스리뷰]
[앵커]
다음 달,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가 도입됩니다.
백신으로 면역력을 키울 수 없었던 사람들이 접종 대상인데요.
백신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도 있지만, 한편에서는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뒤늦은 조치란 비판도 나옵니다.
차승은 기자입니다.
[기자]
주사로 항체를 직접 주입해 면역 효과를 주는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
접종 대상은 혈액암 환자 등 백신으로는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 면역 저하자들로, 정부는 백신 사각지대 해소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지난 8일)> "예방접종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웠던 중증 면역억제 저하자들을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이미 확산세가 크게 잦아들어, 사후약방문이라는 비판을 피하기는 힘든 실정입니다.
국내에서 오미크론 대유행 조짐이 나타났던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 FDA는 이부실드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2월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이부실드 도입 비용 편성 요청이 거부되는 바람에, 그로부터 약 5개월이 지난 뒤에야 도입하게 된 겁니다.
도입을 서둘렀다면 연초 오미크론 유행 피해를 줄였을 것이란 지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이재갑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 "작년 말부터 도입해야 된다고는 계속 요청을 했었어요, 전문가들이. 근데 예산이 안 잡혀서…면역 저하자 중심으로 사용할 것이니까 (방역에) 일부 도움이 됐었겠죠."
전문가들은 이부실드의 도입과 긴급 승인뿐 아니라, 2차 접종은 언제 해야할지, 새로운 형태의 변이에도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chaletuno@yna.co.kr)
#이부실드 #재유행 #면역저하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다음 달,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가 도입됩니다.
백신으로 면역력을 키울 수 없었던 사람들이 접종 대상인데요.
백신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다는 기대도 있지만, 한편에서는 확진자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뒤늦은 조치란 비판도 나옵니다.
차승은 기자입니다.
[기자]
주사로 항체를 직접 주입해 면역 효과를 주는 코로나19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
접종 대상은 혈액암 환자 등 백신으로는 항체가 생성되지 않는 면역 저하자들로, 정부는 백신 사각지대 해소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지난 8일)> "예방접종으로 효과를 보기 어려웠던 중증 면역억제 저하자들을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이미 확산세가 크게 잦아들어, 사후약방문이라는 비판을 피하기는 힘든 실정입니다.
국내에서 오미크론 대유행 조짐이 나타났던 지난해 12월, 미국 식품의약국 FDA는 이부실드의 긴급 사용을 승인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2월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이부실드 도입 비용 편성 요청이 거부되는 바람에, 그로부터 약 5개월이 지난 뒤에야 도입하게 된 겁니다.
도입을 서둘렀다면 연초 오미크론 유행 피해를 줄였을 것이란 지적을 피하기 어렵습니다.
<이재갑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교수> "작년 말부터 도입해야 된다고는 계속 요청을 했었어요, 전문가들이. 근데 예산이 안 잡혀서…면역 저하자 중심으로 사용할 것이니까 (방역에) 일부 도움이 됐었겠죠."
전문가들은 이부실드의 도입과 긴급 승인뿐 아니라, 2차 접종은 언제 해야할지, 새로운 형태의 변이에도 효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야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 (chaletuno@yna.co.kr)
#이부실드 #재유행 #면역저하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1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