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옷값 논란'에 청 "무분별한 의혹제기 유감"
[뉴스리뷰]
[앵커]
청와대 특수활동비와 김정숙 여사의 이른바 '옷값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김 여사의 의상비와 특활비는 무관하다며 해명에 나선 청와대는 무분별한 의혹 제기에 오늘(31일)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했습니다.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숙 여사의 의상을 둘러싼 논란은 한국납세자연맹이 대통령비서실을 상대로 낸 청와대 특활비 정보공개 청구소송에 법원이 승소판결을 내린 뒤 불거지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김 여사가 2억 원에 달하는 유명 명품 브랜드의 브로치를 착용했다는 잘못된 주장까지 나오면서 특활비 공개 문제를 놓고 논란이 커졌습니다.
옷값 논란의 불씨는 정치권으로 옮겨붙었고, 이내 공방의 대상이 됐습니다.
<조수진 /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비로 부담했다면 법원에 공개하란 판결에 왜 불복했는지, 국익 때문에 비공개를 왜 운운해 일을 키웠는지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탁현민 / 청와대 의전비서관(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의심적인 정황이라든지 혹은 증거라든지 이런 것들을 제시하면서 요청을 해야지 개인의 사비로 산 옷에 대해서 그것이 마치 특활비로 활용된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죠."
청와대는 해명이 거듭 이뤄져도 의혹 제기가 계속되자 공개적으로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박수현 /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임기 말 청와대의 특수활동비 뿐만 아니라 김정숙 여사의 옷값과 액세서리까지 거론하는 무분별한 의혹제기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합니다."
박 수석은 지난 1994년 청와대 특활비가 처음 도입된 이래 문재인 정부는 역대 최저 수준의 비용을 편성해왔고, 정부 5년간 그 규모 역시 지속적으로 줄여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정부들어 처음으로 특활비에 대한 감사원 검사 제도를 도입해 실시해왔고, 지금까지 단 한번의 지적도 없었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박 수석은 청와대가 특활비의 세부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비공개 규정이 담긴 관련 법에 따른 것이며, 이는 정부의 공통된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김정숙_여사 #옷값 #청와대 #국민의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청와대 특수활동비와 김정숙 여사의 이른바 '옷값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서 김 여사의 의상비와 특활비는 무관하다며 해명에 나선 청와대는 무분별한 의혹 제기에 오늘(31일) 공개적으로 유감을 표했습니다.
임혜준 기자입니다.
[기자]
김정숙 여사의 의상을 둘러싼 논란은 한국납세자연맹이 대통령비서실을 상대로 낸 청와대 특활비 정보공개 청구소송에 법원이 승소판결을 내린 뒤 불거지기 시작했습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선 김 여사가 2억 원에 달하는 유명 명품 브랜드의 브로치를 착용했다는 잘못된 주장까지 나오면서 특활비 공개 문제를 놓고 논란이 커졌습니다.
옷값 논란의 불씨는 정치권으로 옮겨붙었고, 이내 공방의 대상이 됐습니다.
<조수진 / 국민의힘 최고위원> "사비로 부담했다면 법원에 공개하란 판결에 왜 불복했는지, 국익 때문에 비공개를 왜 운운해 일을 키웠는지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탁현민 / 청와대 의전비서관(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의심적인 정황이라든지 혹은 증거라든지 이런 것들을 제시하면서 요청을 해야지 개인의 사비로 산 옷에 대해서 그것이 마치 특활비로 활용된 것처럼 주장하는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죠."
청와대는 해명이 거듭 이뤄져도 의혹 제기가 계속되자 공개적으로 유감의 뜻을 밝혔습니다.
<박수현 /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임기 말 청와대의 특수활동비 뿐만 아니라 김정숙 여사의 옷값과 액세서리까지 거론하는 무분별한 의혹제기에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합니다."
박 수석은 지난 1994년 청와대 특활비가 처음 도입된 이래 문재인 정부는 역대 최저 수준의 비용을 편성해왔고, 정부 5년간 그 규모 역시 지속적으로 줄여왔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정부들어 처음으로 특활비에 대한 감사원 검사 제도를 도입해 실시해왔고, 지금까지 단 한번의 지적도 없었다고도 강조했습니다.
박 수석은 청와대가 특활비의 세부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비공개 규정이 담긴 관련 법에 따른 것이며, 이는 정부의 공통된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 (junelim@yna.co.kr)
#김정숙_여사 #옷값 #청와대 #국민의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