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북, ICBM급 미사일 발사…문대통령 강력 규탄
■ 방송 : 2022년 3월 24일 (목) <이슈 '오늘'>
■ 진행 : 정영빈, 김나연 앵커
■ 출연 : 백승주 국민대 석좌교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북한이 오늘 오후 ICBM급 미사일을 쏘면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모습입니다.
전문가 두 분과 함께 북한의 의도는 무엇인지, 앞으로 남북관계는 어떻게 흐를지 전망해 보겠습니다.
백승주 국민대 석좌교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발사한 미사일, 합참은 "ICBM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는데요. '화성-17형'일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지난주 수요일(16일)이죠.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지만, 초기 공중 폭발해 발사에 실패했었잖아요. 이번 발사는 만회용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3> 정권 교체기에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이는 건 새 정부의 기조를 파악하기 위한 차원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질문 4> 내일쯤 북한 입장이 나올 걸로 예상되는데, 북한이 그동안 주장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정찰위성 개발을 명분으로 삼지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질문 5>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미국이 외교력을 쏟고 있는데, 북한이 이런 상황도 고려했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6> 일각에서는 이제 북한이 7차 핵실험에 나서는 것도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문 대통령이 NSC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이번 발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제 사회에 약속한 ICBM 발사 유예 약속을 스스로 파기한 것"이라며 강력하게 규탄했습니다.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8> 한미가 사전 경고를 한 만큼, 이번 발사가 ICBM으로 최종 확인될 경우 '레드라인'을 파기한 것으로 간주하고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 강경 대응이라 함은 어느 정도 수위의 대응일까요?
<질문 9> 앞으로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전망하세요? 북미가 '핵 단추'를 언급하며 긴장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던, 2017년 상황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을까요?
<질문 10> 미국 등 국제사회가 안보리 회의 개최를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비협조로 추가 제재는 커녕 언론 성명도 채택하지 못했었잖아요. 이번엔 북한이 ICBM급 미사일을 발사한 만큼 좀 다를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 방송 : 2022년 3월 24일 (목) <이슈 '오늘'>
■ 진행 : 정영빈, 김나연 앵커
■ 출연 : 백승주 국민대 석좌교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북한이 오늘 오후 ICBM급 미사일을 쏘면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모습입니다.
전문가 두 분과 함께 북한의 의도는 무엇인지, 앞으로 남북관계는 어떻게 흐를지 전망해 보겠습니다.
백승주 국민대 석좌교수,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나오셨습니다.
<질문 1> 북한이 오늘 발사한 미사일, 합참은 "ICBM급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는데요. '화성-17형'일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지난주 수요일(16일)이죠. 탄도미사일을 쏘아 올렸지만, 초기 공중 폭발해 발사에 실패했었잖아요. 이번 발사는 만회용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3> 정권 교체기에 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이는 건 새 정부의 기조를 파악하기 위한 차원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질문 4> 내일쯤 북한 입장이 나올 걸로 예상되는데, 북한이 그동안 주장했던 것처럼 이번에도 정찰위성 개발을 명분으로 삼지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질문 5> 현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미국이 외교력을 쏟고 있는데, 북한이 이런 상황도 고려했을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6> 일각에서는 이제 북한이 7차 핵실험에 나서는 것도 시간문제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7> 문 대통령이 NSC 긴급회의를 주재하고 "이번 발사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국제 사회에 약속한 ICBM 발사 유예 약속을 스스로 파기한 것"이라며 강력하게 규탄했습니다. 어떻게 들으셨습니까?
<질문 8> 한미가 사전 경고를 한 만큼, 이번 발사가 ICBM으로 최종 확인될 경우 '레드라인'을 파기한 것으로 간주하고 강경 대응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 강경 대응이라 함은 어느 정도 수위의 대응일까요?
<질문 9> 앞으로 한반도 정세는 어떻게 전망하세요? 북미가 '핵 단추'를 언급하며 긴장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렸던, 2017년 상황으로 되돌아갈 수도 있을까요?
<질문 10> 미국 등 국제사회가 안보리 회의 개최를 요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도 중국과 러시아의 비협조로 추가 제재는 커녕 언론 성명도 채택하지 못했었잖아요. 이번엔 북한이 ICBM급 미사일을 발사한 만큼 좀 다를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