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방역지침…현장 혼란 '부채질'

[뉴스리뷰]

[앵커]

오미크론 변이의 대유행으로 대응 조치들이 급변하며 현장에선 검사부터 진료, 격리원칙까지 큰 혼선이 빚어지고 있죠.

그런데 정작 지침을 내놓고 관리해야할 정부조차 수시로 말이 바뀌어 혼선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에 재택치료 환자가 급증하자, 이른바 '집중관리군'만 관리한다고 밝혔습니다.

처음 발표는 60세 이상과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등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이었는데, 시행을 하루 앞두고 일부 기저질환자를 뺐습니다.

<최종균 / 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반장> "고혈압 약이나 당뇨 약을 먹고 그냥 다른 사람들하고 크게 다르게 상관없이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분들은 굳이…."

하지만 함께 브리핑한 방역당국 관계자 말은 또 달랐습니다.

<손영래 /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집중관리군의 범위는 지금 변경된 것이 없습니다."

그런데 지침은 시행 한 시간을 앞둔 당일 밤 11시 또 바뀌었습니다.

원래대로 50세 이상 기저질환자 모두를 집중관리군에 포함한건데, 현장 의견을 더 들어보니, 기준변경이 갑작스럽고 좀 더 폭넓은 보호가 필요하다는 지적들이 나와 원래대로 하기로 했다는 겁니다.

정부의 혼선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재택치료자는 비대면 진료시 두 번째 진료부터는 진찰료를 내야 한다고 했다가.

<최종균 / 중앙사고수습본부 재택치료반장> "비급여이기 때문에 저희가 비용을 추계하기는 어렵고요…"

착오가 있었다며 다시 추가 진찰료는 없다고 안내했습니다.

또 하루 확진자가 5만명을 넘으면 외래진료를 비대면 진료로 전환한다는 등의 비상지침을 배포했지만, 이것 역시 병원이 상황에 맞춰 운영할 수 있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물량이 충분하다던 자가검사키트도 품귀 현상을 빚고 나서야 판매처를 한정하겠다고 하는 등 상황 판단 잘못이 이어지는 것도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오미크론 #지침혼선 #오락가락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