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규모 서서히 줄어"…오미크론·위중증 규모 변수
[뉴스리뷰]
[앵커]
지난 한 주 코로나19 확진 규모는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방역당국은 방역대책 강화 효과라는 진단을 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파급력이 아직 미지수인 상황에서 섣부른 낙관에 따른 방역 완화는 이르다고 말합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800명대로, 일주일 전보다 1,400명 넘게 줄었습니다.
확진자 수가 수천명 대에 이르다보니 규모가 급격히 줄었다가 다시 급증하는 일도 비일비재하지만, 최근 일주일 간 흐름에선 확산세가 주춤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한 주간 국내 일평균 확진자는 6,318.6명으로, 일주일 전보다 500명 줄어들었습니다.
위중증이 될 위험이 큰 고령층의 비율이 11월 셋째주 35.7%에서 이달 셋째주 30.5%로 줄어든 것도 눈에 띕니다.
방역당국은 특히 고령층의 경우 추가 접종률이 높아지고 있고, 이달 초부터 사적모임을 6인까지로 묶는 등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확산세가 차츰 수그러 들고 있다고 봤습니다.
<이기일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유행 규모가 서서히 줄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확실하게 유행 규모가 줄고, 다시 일상회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 모두께서 조금만 참고 도와주시고 기다려 주실 것을…"
다음주까지 추이를 관찰한 뒤 지금 시행 중인 방역조치의 정도를 재조정할 예정인데, 전문가들은 아직은 이르다는 의견입니다.
<정기석 /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오미크론에 의해서 확진자 숫자가 그렇게 잘 안 줄어들지도 몰라요. 저는 지금 이 정도 단계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고 보기 때문에…"
확진자 규모보다 방역 성패에 더 치명적인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눈에 띄는 감소세를 나타내지 않고 있는 것도 고려할 지점입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앵커]
지난 한 주 코로나19 확진 규모는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방역당국은 방역대책 강화 효과라는 진단을 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의 파급력이 아직 미지수인 상황에서 섣부른 낙관에 따른 방역 완화는 이르다고 말합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5,800명대로, 일주일 전보다 1,400명 넘게 줄었습니다.
확진자 수가 수천명 대에 이르다보니 규모가 급격히 줄었다가 다시 급증하는 일도 비일비재하지만, 최근 일주일 간 흐름에선 확산세가 주춤하는 모습이 관찰됩니다.
한 주간 국내 일평균 확진자는 6,318.6명으로, 일주일 전보다 500명 줄어들었습니다.
위중증이 될 위험이 큰 고령층의 비율이 11월 셋째주 35.7%에서 이달 셋째주 30.5%로 줄어든 것도 눈에 띕니다.
방역당국은 특히 고령층의 경우 추가 접종률이 높아지고 있고, 이달 초부터 사적모임을 6인까지로 묶는 등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확산세가 차츰 수그러 들고 있다고 봤습니다.
<이기일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유행 규모가 서서히 줄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확실하게 유행 규모가 줄고, 다시 일상회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국민 여러분 모두께서 조금만 참고 도와주시고 기다려 주실 것을…"
다음주까지 추이를 관찰한 뒤 지금 시행 중인 방역조치의 정도를 재조정할 예정인데, 전문가들은 아직은 이르다는 의견입니다.
<정기석 /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오미크론에 의해서 확진자 숫자가 그렇게 잘 안 줄어들지도 몰라요. 저는 지금 이 정도 단계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고 보기 때문에…"
확진자 규모보다 방역 성패에 더 치명적인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눈에 띄는 감소세를 나타내지 않고 있는 것도 고려할 지점입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2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