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문대통령, 장관 후보자 3인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출연 : 김성완 시사평론가·이상일 전 국회의원>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 장관 후보자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면서, 장관 후보자 인준의 공은 다시 국회로 넘어왔습니다.

하지만 여야는 여전히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민주당 대선 레이스에 나선 빅3 후보들 간의 신경전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김성완 시사평론가, 이상일 전 국회의원과 정치권 이슈 짚어봅니다.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이 청문보고서를 재송부 요청하면서, 여야가 어제 하루에만 두 차례 만나 인준안 처리를 논의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민주당은 김부겸 총리 후보자 인준안 처리부터 하자는 입장이지만, 국민의힘은 3인 장관 후보자 거취와 연계 처리를 주장하며 맞서고 있는 상황인데요. 대통령이 요청한 시한인 금요일까지는 비슷한 논의가 이어지지 않을까 싶거든요. 김부겸 총리 후보자와 3장관 후보자, 국회 인준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1-1> 대통령의 재송부 요청을 받아든 민주당의 고심은 깊어지는 모습입니다. 특히 국민의힘의 여전한 강경모드 앞에, 민주당은 지명철회를 해야 한다는 입장과 사수 입장이 갈리면서, 여전히 당론을 정하지 못하고 있거든요. 송영길 지도부, 어떤 결론을 내릴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2> 이런 가운데, 문대통령과 여당 신임 지도부가 이번 주 금요일인 14일 상견례를 갖고, 국정현안 등을 논의합니다. 당장 3장관 후보자 인준 문제나 당청관계등과 관련된 논의가 오갈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날까지 여야 협상이 제자리 걸음이라면, 이 자리에서 송영길 대표가 3장관 후보자 관련, 지명철회 요청을 하거나, 최종 조율을 할 가능성도 있어 보여요?

<질문 3> 민주당 빅3 대권주자 간 견제가 한층 치열해지는 모습입니다. 각자 포럼 행사와 지지모임 발대식을 갖는 등 세 다지기에 나선 세 후보, 이번엔 정부의 부동산 실정 문제를 놓고 공방을 주고받는 모습인데요. 이 지사 측에서 현 정부 총리를 지낸 두 후보가 부동산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오자, 두 후보 역시 "제 얼굴에 침뱉기" "지자체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응수하고 나선 겁니다. 이런 빅3 후보 간의 신경전,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4> 경선 연기론을 놓고도 긴장감이 고조되는 상황입니다. 이지사 측은 "연기하는 순간 대선에서 승리하기 어렵다"며 다음 달 안에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해 '경선 연기론'을 견제하겠다는 계획까지 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 상황이지만,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는 연기 가능성에 무게를 실으면서도 원론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요. 경선 연기 가능성은 어떻게 판단하십니까?

<질문 5> 국민의힘 전당대회 일정이 다음달 11일로 확정된 가운데, 본선 경쟁자를 결정짓는 컷 오프 방식이 도입될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는 당원투표 70%, 일반 국민 여론조사 30%의 경선 규칙에 따라 본선 진출자를 결정하게 돼 있는데요. 문제는 일부 후보들이 대중친화적 인물로 당 대표를 선출해 대선까지 바람몰이를 해야 한다며, 국민여론조사 비율을 높이는 경선규칙 변경을 주장하고 나선 겁니다. 경선규칙 변경 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6> 이런 가운데, 당권 주자들간 신경전도 거세지고 있습니다. 어제는 주호영 의원이 초선 김웅 의원과 이준석 전 최고위원등 젊은 정치인들의 당권 도전을 등산에 비유해 "높은 산을 오르려면 중간 산도 올라보는 경험을 해야 한다"고 하자, 이준석 전 최고위원, 지지 않고 "주 의원은 팔공산만 다섯 번 오른 분"이라며 지역에서 쉽게 정치 하시던 분이라 수도권 정치의 어려움을 모른다고 반박에 나섰어요?

<질문 7> 홍준표 의원이 연일 자신의 복당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번엔 SNS를 통해 "복당 청문회장이라도 마련해주면 나가 그간의 오해를 설명할 용의가 있다"며 국민의힘 지지층 65%와 한명을 제외한 당권 주자 모두가 자신의 복당을 지지하고 있다는 주장을 폈는데요. 여전히 초선 의원들의 반발이 거센데다, 김기현 대행은 "복당 은 급한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 중이거든요. 복당 가능하리라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