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정비로 2.1만가구 공급…주민 설득 여전히 난제

[뉴스리뷰]

[앵커]

수도권의 신규택지 발표는 미뤄졌지만, 정부는 도심 주택공급만은 속도감 있게 밀고 나가겠다는 입장입니다.

국토부는 대규모 정비가 어려운 역세권 등 27곳을 새로운 사업지로 선정했는데요.

역시 주민 동의라는 난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나경렬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금천구의 주택 밀집 지역입니다.

낡은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있어 차가 다니기도 어렵습니다.

하지만 이곳엔 이런 신축 건물들이 오래된 주택 사이사이에 들어서 있기도 합니다.

정부는 이렇게 신축과 노후 주택이 섞여 있는 지역에서 낡은 주택들만 소규모로 개발해 주택을 추가 공급한단 계획입니다.

지난 2·4 공급 대책에서 예고된 이른바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으로 첫 후보지로 20곳을 선정됐습니다.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은 물론 대전과 광주 지역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김수상 /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 "관리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민간의 소규모 정비사업이 활발히 추진돼 1만 7천호의 주택 공급이…"

이와 함께 서울 구로구 등에선 3,700가구가 공급되는 도시재생사업이 진행됩니다.

정부는 용적률을 높여주고 국비를 지원해 사업성을 높인다면 원활한 사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물론 주민 동의가 필수입니다.

LH 사태로 공공주도 개발의 불신이 큰 상황에서 주민들을 설득해 내야만 속도감 있는 공급이 가능합니다.

<장규원 / 금천구 공인중개사> "개발을 해준다고 하면 찬성하는 쪽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LH나 SH에서 독단적으로 개발을 한다면 불신이 아직 가시지 않았기 때문에…"

2·4 대책에서 언급한 다양한 유형의 사업지가 속속 공개되고는 있지만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남았다는 얘기입니다.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