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홍영표 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출사표
<출연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이제 닷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차기 당대표는 재보선 참패로 인한 민심수습과 함께, 1년도 채 남지 않은 대선을 준비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맡게 됩니다.
오늘은 이번 민주당 당권에 출사표를 던진 홍영표 후보 모시고, 관련 얘기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질문 1> 이번 재보선 참패 후 대선이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입니다. 당의 수습과 민심 회복 등, 어려운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인데요. 이런 어려운 시기, 당권에 도전한 배경이 궁금합니다.
<질문 2> 재보선 후 약 2주가 흘렀습니다. 민주당의 가장 큰 과제는 쇄신일텐데요. 후보님이 생각하시는 민주당의 쇄신, 개혁의 방향이 궁금합니다.
<질문 2-1> 초반에는 초선의원들의 반성문이 나오는 등, 당 내 쇄신의 목소리가 컸지만, 차기 지도부 선출이 시작되면서, 근본적 쇄신보다 당권주자들이 당원들에 대한 구애 경쟁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이번 재보선 이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변할지 관심이 쏠렸는데요. 어제 민주당이"당분간 부동산 세제 완화 논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홍 후보님도 어제 토론회에서 종부세 완화 반대 입장을 밝히셨는데요. 부동산 정책 장기적으로 어떻게 가져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당내 친문, 비문 계파 논쟁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윤호중 원내대표가 당선된 후 홍 후보님까지 당권에 도전하면서 '도로 친문당'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데요. 홍 후보님은 당내 계파가 없다고 선을 그으신 입장이시죠? 실제로 당내 친문, 비문이 없다고 자신하십니까?
<질문 4-1> 송영길 의원은 "자신은 어느 계보에도 속하지 않는다"며 당내 계보가 있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하는 발언을 했는데, 이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5> 당 대표로 선출된 뒤 야당과 협치를 어떻게 풀어 가실지도 궁금합니다. 국민의힘의 원내대표 후보 4인 모두가 원구성 관련 "법사위원장 직 탈환"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1기 협상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요. 홍 후보님의 입장은 어떠신가요? 새로운 원 구성 협의 의향이 있으신가요?
<질문 6> 야당과 일부 야당 출신 지자체장들이 띄우고 나선 전직 대통령들의 사면론에 대한 후보님의 입장도 궁금합니다. 아직 야당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치열한 상황입니다만, 국민통합을 위해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 논의,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만약 사면 논의가 필요하다면 그 시기는 언제쯤이 적기라고 보십니까?
<질문 7> 마지막으로 왜 차기 당 대표는 홍영표여야 하는지 짧게 말씀 해주시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대표를 뽑는 전당대회가 이제 닷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차기 당대표는 재보선 참패로 인한 민심수습과 함께, 1년도 채 남지 않은 대선을 준비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맡게 됩니다.
오늘은 이번 민주당 당권에 출사표를 던진 홍영표 후보 모시고, 관련 얘기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질문 1> 이번 재보선 참패 후 대선이 1년도 남지 않은 시점입니다. 당의 수습과 민심 회복 등, 어려운 과제들이 산적해 있는 상황인데요. 이런 어려운 시기, 당권에 도전한 배경이 궁금합니다.
<질문 2> 재보선 후 약 2주가 흘렀습니다. 민주당의 가장 큰 과제는 쇄신일텐데요. 후보님이 생각하시는 민주당의 쇄신, 개혁의 방향이 궁금합니다.
<질문 2-1> 초반에는 초선의원들의 반성문이 나오는 등, 당 내 쇄신의 목소리가 컸지만, 차기 지도부 선출이 시작되면서, 근본적 쇄신보다 당권주자들이 당원들에 대한 구애 경쟁에만 집중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이번 재보선 이후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변할지 관심이 쏠렸는데요. 어제 민주당이"당분간 부동산 세제 완화 논의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홍 후보님도 어제 토론회에서 종부세 완화 반대 입장을 밝히셨는데요. 부동산 정책 장기적으로 어떻게 가져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질문 4> 당내 친문, 비문 계파 논쟁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윤호중 원내대표가 당선된 후 홍 후보님까지 당권에 도전하면서 '도로 친문당'이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는데요. 홍 후보님은 당내 계파가 없다고 선을 그으신 입장이시죠? 실제로 당내 친문, 비문이 없다고 자신하십니까?
<질문 4-1> 송영길 의원은 "자신은 어느 계보에도 속하지 않는다"며 당내 계보가 있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하는 발언을 했는데, 이에 대해선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5> 당 대표로 선출된 뒤 야당과 협치를 어떻게 풀어 가실지도 궁금합니다. 국민의힘의 원내대표 후보 4인 모두가 원구성 관련 "법사위원장 직 탈환"을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민주당 원내지도부는 "1기 협상은 유효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요. 홍 후보님의 입장은 어떠신가요? 새로운 원 구성 협의 의향이 있으신가요?
<질문 6> 야당과 일부 야당 출신 지자체장들이 띄우고 나선 전직 대통령들의 사면론에 대한 후보님의 입장도 궁금합니다. 아직 야당 내에서도 갑론을박이 치열한 상황입니다만, 국민통합을 위해 두 전직 대통령의 사면 논의,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만약 사면 논의가 필요하다면 그 시기는 언제쯤이 적기라고 보십니까?
<질문 7> 마지막으로 왜 차기 당 대표는 홍영표여야 하는지 짧게 말씀 해주시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