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스] 백신휴가
내일부터 만 7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죠.
일반인 백신 접종이 이제 본격화되는 건데요.
순차적으로 접종이 확대되면서 '백신휴가'도 도입됩니다.
오늘의 그래픽 뉴스, <백신휴가>입니다.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 만8천 명을 추적조사한 결과 32.8%, 그러니까 세 명 중 한 명은 백신 접종 후 불편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2.7%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는데요.
주로 나타나는 이상 반응은 접종 부위나 근육 통증, 피로감, 두통, 발열 등이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불편감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나이순으로 그 뒤를 이었는데요.
고령층보다는 젊은 층에서, 또 나이가 젊을수록 백신 접종 뒤 이상 반응을 더 많이 느낀 겁니다.
또 대부분은 접종 뒤 12시간 내 증상이 나타났다가 이틀 안에 회복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런 조사 결과에 따라 내일부터 도입되는 백신휴가, 백신 접종 뒤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다음 날 하루를 쉬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하루 더 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차나 월차가 아닌 병가나 별도의 유급휴가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의료기관의 혼란을 우려해 의사 소견서 없이도 백신휴가를 쓸 수 있게 했습니다.
정부는 또 백신을 맞는 당일에도 접종 대상자에 공가나 유급휴가를 주도록 권고하고 있는데요.
당초 정부는 백신휴가를 강제할지 여부를 검토했었죠.
하지만 심한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 비율이 1~2% 수준에 불과한데다 업종마다 근무환경이 달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백신휴가 의무화는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데요.
강제 사항이 아니라서 마땅히 제재할 만한 근거가 없어 기업의 경우 사업주가 백신휴가를 거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은 휴가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 백신휴가 도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현재 국회에 백신휴가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다수 발의돼 있는 만큼, 앞으로 이 문제는 국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내일부터 만 75세 이상 어르신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되죠.
일반인 백신 접종이 이제 본격화되는 건데요.
순차적으로 접종이 확대되면서 '백신휴가'도 도입됩니다.
오늘의 그래픽 뉴스, <백신휴가>입니다.
방역 당국이 백신 접종을 받은 사람 만8천 명을 추적조사한 결과 32.8%, 그러니까 세 명 중 한 명은 백신 접종 후 불편함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중 2.7%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는데요.
주로 나타나는 이상 반응은 접종 부위나 근육 통증, 피로감, 두통, 발열 등이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불편감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나이순으로 그 뒤를 이었는데요.
고령층보다는 젊은 층에서, 또 나이가 젊을수록 백신 접종 뒤 이상 반응을 더 많이 느낀 겁니다.
또 대부분은 접종 뒤 12시간 내 증상이 나타났다가 이틀 안에 회복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런 조사 결과에 따라 내일부터 도입되는 백신휴가, 백신 접종 뒤 이상 반응이 나타나면 다음 날 하루를 쉬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하루 더 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연차나 월차가 아닌 병가나 별도의 유급휴가로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의료기관의 혼란을 우려해 의사 소견서 없이도 백신휴가를 쓸 수 있게 했습니다.
정부는 또 백신을 맞는 당일에도 접종 대상자에 공가나 유급휴가를 주도록 권고하고 있는데요.
당초 정부는 백신휴가를 강제할지 여부를 검토했었죠.
하지만 심한 이상 반응이 나타나는 비율이 1~2% 수준에 불과한데다 업종마다 근무환경이 달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는 점을 이유로 백신휴가 의무화는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데요.
강제 사항이 아니라서 마땅히 제재할 만한 근거가 없어 기업의 경우 사업주가 백신휴가를 거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은 휴가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 백신휴가 도입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오는데요.
현재 국회에 백신휴가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다수 발의돼 있는 만큼, 앞으로 이 문제는 국회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