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뉴스] 이동량과 확진자수

다섯 명 이상의 사적 모임 금지.

정부의 방역정책에 따라 작년 말부터 실시 중인데 실제로 방역에 도움이 됐을까요?

이를 보여주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의 그래픽 뉴스, <이동량과 확진자수>입니다.

KT가 자사 통신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괍니다.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자 이동량이 점점 줄었다가, 다시 증가세로 전환되는 모습인데요.

이 증가 추세가 급격히 꺾인 시점, 정부의 5인 이상 집합금지가 발효된 때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12월 19일부터 23일까지 인구 이동량이 1.26% 증가하다가 23일부터 다섯 명 이상 집합금지 조치가 시행되자 25일까지 이동량이 6.06% 감소한 겁니다.

이동이 줄면서 코로나19 확진세가 둔화됐다는 분석인데요.

이동량과 코로나19 확산의 관계, 이 수치로도 입증됩니다.

지난해 10월부터 12월 말까지 다른 지역에서 유입 인구가 많은 종로구와 중구의 확진자 비율이 각각 0.21%, 0.18%로 높았던 반면,

다른 지역으로 나가는 인구가 많은 강동구와 강북구는 확진자 비율이 0.08%, 0.1%로 낮게 나타난 겁니다.

하지만 코로나19 장기화로 시민들의 피로감이 높아졌다는 것 역시 이동량 데이터를 통해 유추해볼 수 있는데요.

지난 2월과 8월, 1, 2차 유행 때는 확진자 수가 급증할 때마다 인구 이동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걸 볼 수 있죠.

이와 달리 3차 유행 시기에는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급증함에도 인구 이동량이 더디게 감소하는 모습입니다.

시민들의 피로도를 줄이기 위해 확산세에 따른 정부의 방역조치, 빠르게 조정될 필요가 있겠죠.

신규 확진자 수가 200명대로 떨어진 오늘부터 방역조치가 일부 완화됩니다.

확산세가 여전한 수도권에서는 오후 9시 영업 제한이 종전대로 유지되지만, 비수도권의 식당과 카페, 헬스장 등의 영업은 밤 10시까지로 1시간 연장되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

이에 대해 수도권 자영업자들은 반발하고 있는데요.

일각에서는 영업 마감 시간을 일괄적으로 정하지 말고 업종 특성에 맞게 일정 시간 한도에서 자유롭게 영업하는 '업종별 영업시간 총량제'를 요구하고 있죠.

하지만 정부는 "영업시간 총량제는 방역 효과가 떨어진다"는 입장입니다.

정부는 "수도권은 언제든 코로나19 환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서, 오는 14일 설 연휴까지 상황을 지켜본 뒤 수도권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 연장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