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중증 환자 최대…대형병원에 중환자 병상 확보 명령

[뉴스리뷰]

[앵커]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연일 1,000명대 확진자가 쏟아지자 이 가운데 위중증 환자도 사태 시작 뒤 최대로 불어났습니다.

1차 대유행 이후 처음으로 입원을 기다리다 숨진 환자까지 나오자 정부가 대형병원들에 중환자 병상 확보 명령을 내렸습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확진자 급증과 함께 최근 사흘간 위중증 환자도 계속 불어나 275명이 됐습니다.

1월 사태 시작 뒤 가장 많은 건데 문제는 이들을 치료할 병상의 고갈이 눈앞이란 점입니다.

18일 기준 전국의 코로나19 위중증환자 전담 치료병상은 252개.

이 중 단 33개만 즉시 입원이 가능합니다.

신규 확진자가 집중된 수도권은 더 심해 서울이 4개, 경기와 인천이 각 1개씩만 남았고 대전, 충북, 경북 등 5곳은 아예 없는 실정입니다.

급기야 정부가 상급종합병원 40여 곳과 국립대학병원 등에 중증환자 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상급종합병원은 허가 병상 수의 최소 1%, 국립대병원은 1% 이상을 중환자용으로 확보하란 건데 민간 병원에까지 병상 동원을 명령한 것은 코로나 사태 들어 처음입니다.

병상 부족은 곧 코로나 대응 의료체제의 사실상 붕괴를 뜻하는데, 지난 15일 서울의 60대 환자가 1차 유행기 이후 처음으로 자택 대기 중 숨지면서 우려가 증폭되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 수치엔 요양병원 대기 중 숨진 확진자들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곽진 / 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팀장> "격리병상으로 전원하지 않은 (요양병원이나 정신병원 등) 재원 상태에서의 의료적 처치나 관리 이런 상태를 감안할 필요가 있다는…"

하지만 요양병원에선 인공심폐장치 같은 코로나 중환자용 장비 없이 기다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들을 입원 대기 중 사망과 분리 집계하는 것이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