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번지 현장] 소상공인 제품 반값에…내일부터 '크리스마스 마켓'
■ 방송 : <1번지현장>
■ 진행 : 정호윤 앵커
■ 출연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앵커]
매서운 한파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재확산으로 소상공인들의 체감 온도는 더 떨어져 있는데요.
시름에 잠긴 소상공인.
이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크리스마스 라이브마켓을 기획한 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장관과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내일부터 중기부가 마련한 "2020 크리스마스 마켓"이 시작되는데요. 올해 두 번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취지로 기획된 행사인가요?
<질문 2>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판매할 제품을 국민 참여 방식으로 선정했다고 들었습니다. 호응이 많았던 제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질문 2-1> 독특하다거나 가장 추천해주고 싶은 제품이 있다면요?
<질문 3> 올해는 코로나19 탓에 라이브커머스를 활용한 온라인·비대면 중심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단순히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향후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확대로 이어지게 할 방안을 구상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4> 이번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얻으려는 성과와 기대하는 효과라면 어떤 게 있을까요? 올해 중기부 정책 방향과도 연관되어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5> 코로나19로 사회적 멈춤과 함께 국민들의 소비심리 또한 꽁꽁 얼어붙었는데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극심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장관님께서 생각하시기에 지금 소상공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라고 보시는가요?
<질문 6> 최근 '프로토콜 경제' 전도사로서 "플랫폼 경제에서 프로토콜 경제로의 전환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히셨습니다. 단어만 들으면 좀 생소한데요, '프로토콜 경제'가 무엇인지 또 프로토콜 경제로 전환하면 어떤 점이 좋아지는 건가요?
<질문 7> 말씀을 들어보니 결국, 쟁점은 '성과 배분'인 것 같은데요. 프로토콜 경제에서는 참여자의 기여도를 어떻게, 산정할 수 있는 건지, 현재의 플랫폼 방식에선 그런 배분 방식을 도입할 수 없는 건지가 관건 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8> 내년 4월 치러지는 재·보궐선거의 서울시장 후보로 계속 언급되고 계십니다.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가장 높은 지지도를 얻고 계신 데, 실제로 주변의 요청이 있는 상황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 방송 : <1번지현장>
■ 진행 : 정호윤 앵커
■ 출연 :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앵커]
매서운 한파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재확산으로 소상공인들의 체감 온도는 더 떨어져 있는데요.
시름에 잠긴 소상공인.
이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크리스마스 라이브마켓을 기획한 중소벤처기업부 박영선 장관과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내일부터 중기부가 마련한 "2020 크리스마스 마켓"이 시작되는데요. 올해 두 번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취지로 기획된 행사인가요?
<질문 2>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판매할 제품을 국민 참여 방식으로 선정했다고 들었습니다. 호응이 많았던 제품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질문 2-1> 독특하다거나 가장 추천해주고 싶은 제품이 있다면요?
<질문 3> 올해는 코로나19 탓에 라이브커머스를 활용한 온라인·비대면 중심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단순히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향후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확대로 이어지게 할 방안을 구상하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4> 이번 "크리스마스 마켓"에서 얻으려는 성과와 기대하는 효과라면 어떤 게 있을까요? 올해 중기부 정책 방향과도 연관되어 있을 것 같은데요?
<질문 5> 코로나19로 사회적 멈춤과 함께 국민들의 소비심리 또한 꽁꽁 얼어붙었는데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극심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장관님께서 생각하시기에 지금 소상공인들에게 가장 필요한 지원은 무엇이라고 보시는가요?
<질문 6> 최근 '프로토콜 경제' 전도사로서 "플랫폼 경제에서 프로토콜 경제로의 전환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여러 차례 밝히셨습니다. 단어만 들으면 좀 생소한데요, '프로토콜 경제'가 무엇인지 또 프로토콜 경제로 전환하면 어떤 점이 좋아지는 건가요?
<질문 7> 말씀을 들어보니 결국, 쟁점은 '성과 배분'인 것 같은데요. 프로토콜 경제에서는 참여자의 기여도를 어떻게, 산정할 수 있는 건지, 현재의 플랫폼 방식에선 그런 배분 방식을 도입할 수 없는 건지가 관건 될 것 같은데요.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8> 내년 4월 치러지는 재·보궐선거의 서울시장 후보로 계속 언급되고 계십니다.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가장 높은 지지도를 얻고 계신 데, 실제로 주변의 요청이 있는 상황인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