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1번지] "문대통령 지지율 40%대 회복"
오늘 정치권에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
김관옥 계명대 교수, 신성범 전 의원과 집중 분석해봅니다.
■ 방송 : <여의도1번지>
■ 진행 : 정호윤, 성유미 앵커
■ 출연 : 김관옥 계명대 교수, 신성범 전 의원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한 달 만에 소폭 상승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30%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내다 상승으로 돌아서며 부정 평가와 격차를 줄인 가장 큰 이유,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오늘 오전,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갑작스럽게 의원들에게 거취를 일임하겠다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재신임을 받았습니다. 최근 전략 없이 거여에 끌려다녔다는 데 대한 책임론과 함께 태극기 세력이 참석하는 시민단체 연석회의에 참가한 것들이 불만을 사기도 했는데요. 다소 싱거운 재신임이지만 당 내부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질문 3> 국민의힘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공관위원장에 5선의 정진석 의원이 내정된 부분이 눈에 띄는데요. 당내 최다선으로 충청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만큼 윤석열 검찰총장의 정계 진출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질문 3-1> 서울지역 공관위원으로는 초선 윤희숙 의원이 내정됐습니다. 최근 존재감을 키워왔는데 공관위에 합류했다는 건, 서울시장 불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질문 4> 앞서 사의를 표명했지만, 추 장관이 공수처 출범에 맞춰 파견 검사 인사와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 당내에서도 아직 할 일이 남았다는 요구도 있고, 국민 청원에까지 재신임을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질문 5> 여당 대표를 지낸 5선 중진 의원이죠. 검찰과 극한 대립으로 정부·여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진통을 겪긴 했지만, 추 장관은 개인적으로도 그 어느 때보다 큰 주목을 받지 않았습니까? 내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등판부터 차기 대권까지 고심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질문 6> 윤석열 총장의 행보도 짚어보겠습니다. 여권에서는 추 장관과 동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민평련에서 기자회견을 하기도 했는데요. 대통령에게 '항명'하는 모습은 비상식적이라며 "입 닫고 그 자리에서 조용히 내려오는 것이 합당하다"는 강한 비판도 있었습니다? 사퇴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앞으로 두 달, 그리고 그 후가 궁금합니다. 윤 총장 측에서는 예고한 대로 징계처분 취소 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냈는데요. 법원이 윤 총장의 징계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이면 윤 총장은 바로 직무에 복귀할 겁니다. 아니면 두 달간 정직 상태에서 본안 소송의 결과를 기다려야겠죠. 여러 가지 경우의 수가 생기는데요. 사퇴 없이 복귀한다면 2월인데, 이때 또 어떤 후반전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오늘 정치권에는 어떤 이슈들이 있을까요.
김관옥 계명대 교수, 신성범 전 의원과 집중 분석해봅니다.
■ 방송 : <여의도1번지>
■ 진행 : 정호윤, 성유미 앵커
■ 출연 : 김관옥 계명대 교수, 신성범 전 의원
<질문 1>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한 달 만에 소폭 상승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30%로 역대 최저치를 나타내다 상승으로 돌아서며 부정 평가와 격차를 줄인 가장 큰 이유,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2> 오늘 오전,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가 갑작스럽게 의원들에게 거취를 일임하겠다면서 사의를 표명했다 재신임을 받았습니다. 최근 전략 없이 거여에 끌려다녔다는 데 대한 책임론과 함께 태극기 세력이 참석하는 시민단체 연석회의에 참가한 것들이 불만을 사기도 했는데요. 다소 싱거운 재신임이지만 당 내부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질문 3> 국민의힘이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공천관리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공관위원장에 5선의 정진석 의원이 내정된 부분이 눈에 띄는데요. 당내 최다선으로 충청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만큼 윤석열 검찰총장의 정계 진출을 염두에 둔 포석이라는 분석도 있습니다?
<질문 3-1> 서울지역 공관위원으로는 초선 윤희숙 의원이 내정됐습니다. 최근 존재감을 키워왔는데 공관위에 합류했다는 건, 서울시장 불출마를 사실상 공식화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질문 4> 앞서 사의를 표명했지만, 추 장관이 공수처 출범에 맞춰 파견 검사 인사와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단행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 당내에서도 아직 할 일이 남았다는 요구도 있고, 국민 청원에까지 재신임을 요구하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질문 5> 여당 대표를 지낸 5선 중진 의원이죠. 검찰과 극한 대립으로 정부·여당 지지율이 동반 하락하는 진통을 겪긴 했지만, 추 장관은 개인적으로도 그 어느 때보다 큰 주목을 받지 않았습니까? 내년 서울시장 보궐선거 등판부터 차기 대권까지 고심하고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질문 6> 윤석열 총장의 행보도 짚어보겠습니다. 여권에서는 추 장관과 동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오늘 민평련에서 기자회견을 하기도 했는데요. 대통령에게 '항명'하는 모습은 비상식적이라며 "입 닫고 그 자리에서 조용히 내려오는 것이 합당하다"는 강한 비판도 있었습니다? 사퇴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7> 앞으로 두 달, 그리고 그 후가 궁금합니다. 윤 총장 측에서는 예고한 대로 징계처분 취소 소송과 집행정지 신청을 냈는데요. 법원이 윤 총장의 징계 집행정지 신청을 받아들이면 윤 총장은 바로 직무에 복귀할 겁니다. 아니면 두 달간 정직 상태에서 본안 소송의 결과를 기다려야겠죠. 여러 가지 경우의 수가 생기는데요. 사퇴 없이 복귀한다면 2월인데, 이때 또 어떤 후반전이 펼쳐질 것으로 전망하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