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구급차 부족해요"…숨가쁜 생활치료센터

[뉴스리뷰]

[앵커]

확진자가 늘면서 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등 관련 시설이 곳곳에 세워지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입소 대상자가 몰리면서 생활치료센터는 숨 돌릴 틈 없이 바쁜 모습입니다.

신현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무증상자와 경증환자가 치료를 받는 경기도 성남시 생활치료센터.

본래 한 단체의 연수원 건물이지만, 서울대병원이 지난 8일부터 병상 340개를 마련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신규 확진자가 늘면서 문을 연 지 사흘 만에 100명이 넘는 환자가 입소할 예정입니다.

의료진 감염이 우려되는 만큼, 문진은 하루 두 번 비대면으로 이뤄집니다.

이곳에 입소한 환자가 건강 문진표를 작성하면 간호사가 전화를 걸어 약 처방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유상아 / 서울대병원 간호사> "잘 주무셨어요? (잘 잤습니다.) 기록지 작성해주신 것 봤는데… 코막힘 증상만 체크해주셨는데, 그것 말고 불편한 건 없으실까요?"

긴 시간, 제한된 장소에 머무르는 만큼 심리치료도 병행됩니다.

보통 열흘 뒤 증상이 회복되면 퇴소 절차를 밟지만, 증상이 악화돼 상급병원으로 이송되는 환자도 있습니다.

<현장음> "객실까지 올라가셔서 거리 두시고, 나오는 곳, 밑에까지 안내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장 의료진은 병상이 부족하지는 않을까 걱정이 앞섭니다.

<김경남 /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의료지원단장> "확진이 되더라도 시설이 부족해서 충분히 입소하지 못하고 자택에서 머무시는 분들이 많아서 가슴이 아프고요. 문제가 생겼을 때 상급병원으로 이송해야 되는데 그런 면에서도 부족한 게 많아서…"

대부분의 생활치료센터가 24시간 비상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의료진들의 건강 관리를 위한 관심도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hyunspirit@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ADVERTISEMENT